[NIE] 화성인 상상해 그려봐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중앙일보가 지난해 8월 6일자 1면, 올해 8월 14일자 7면, 한국천문연구원(www.kao.re.kr) 인터넷 사이트와 백과사전 등을 참조하세요.

① 미국의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만든 'ET(The Extra Terrestrial)'나 '화성 침공'(감독 팀 버튼.1996) 등 외계인이 나오는 공상과학영화를 한 편 보고 우주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은 어떨까요.

② 화성도 우리가 사는 지구처럼 태양계에 속한 아홉개의 행성 가운데 하나입니다. 행성이란 태양 주위를 타원형으로 돌며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빛을 반사시켜 빛을 내는 천체를 말합니다. 태양에 가까운 행성부터 순서대로 알아보세요. 행성들이 태양을 도는 길도 그려보세요.

☞태양계는 우리 은하의 끝부분에 있으며, 반지름이 59억㎞(태양과 명왕성과의 거리)로 약 46억년 전에 탄생했습니다.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아홉개의 행성과 소행성, 각 행성들의 주위를 도는 위성 및 혜성.유성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태양계의 질량을 100으로 볼 때 태양이 99.85%를 차지한다니 그 위력이 얼마나 큰지 짐작하시겠지요.

③ 우리가 사는 지구도 마찬가지지만 태양계의 행성들은 자전하며, 자기 길을 따라서 태양 주위를 돌고 있어요. 지구가 스스로 한 바퀴를 돌면 하루가 가고,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돌면 일년이 가지요. 그럼 화성의 하루와 일년을 지구와 비교해 알아보세요. 고학년이라면 지구를 기준(1)으로 놓고 아홉개 행성을 모두 표로 표시해도 좋아요.

④ 행성의 둘레를 도는 작은 천체를 위성이라고 합니다. 지구의 위성은 달과 1986년에 발견된 '크루이스니' 등 두개입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화성의 위성 이름을 알아보세요.

⑤ 지구에 사계절이 있는 것은 자전축이 약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화성에도 사계절이 나타날까요? 그리고 화성은 왜 붉은 빛을 띨까요?

⑥ 화성엔 생물체가 정말 없는 걸까요? 소설 '우주전쟁'에 나오는 화성인은 문어처럼 생겼지요. 생물체가 존재한다면 어떤 모습일지 그려보세요.

☞화성은 지구와 환경이 가장 비슷하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처음 화성에 착륙한 바이킹 우주탐사선이 찍은 화성의 모습은 황량한 사막이었고, 생명체라곤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학자들은 생명체 탐사 작업을 포기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태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