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김정은이 매우 현명하고 합리적인 결정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괌 포위사격을 미루고, 미국도 '대화 우선'을 내걸면서 '대화국면'으로 나아가기 위한 양측의 치열한 샅바싸움이 시작됐다.

미 국무부 대변인, '북한,괌 사격 중단시 대화 나서느냐' 묻자 #"'쿠키(과자)먹지 않으면 TV보게 해주실래요?'질문과 같다" #틸러슨 국무장관 "북한과의 대화, 김정은에게 달려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 "김정은이 매우 현명하고 상당히 합리적인 결정을 내렸다"며 "그렇지 않았더라면 재앙적이고 용납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썼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14일 괌 포위 사격에 대한 보고를 받은 후 "당분간 미국의 행태를 지켜보겠다"고 말하며 한발 물러선 듯한 모습을 보인 데 따른 것이다.

북한과의 대화를 적극 모색하고 나선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 [자료사진]

북한과의 대화를 적극 모색하고 나선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 [자료사진]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 또한 15일 오전 기자 간담회에서 "북한과의 대화에 도달하는 방법을 찾는 데 관심을 쏟겠지만 그건 그(김정은 위원장)에게 달려 있다"고 말했다. 대화에 나서기 위한 명분을 마련하라는 신호를 북한에 보낸 것이다. 틸러슨은 그러나 북한이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제시하지 않았다.

오후 들어 브리핑에 나선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은 '진지한 노력(serious effort)'이란 단어를 반복해 구사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먼저 굽히고 들어가는 식의 협상은 하지 않겠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우리들은 협상 테이블로 돌아가는 방식에 대해선 협상하지 않겠다"고 했고, "괌 포위사격을 그만 두는 것만으로는 북한과의 협상에 응할 순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대북 대화의 조건을 설명하고 있는 장면에 16일 북한과의 대화조건을 언급하는 과정에서 비유한 '쿠키'를 합성한 사진[사진 국무부 홈페이지 등]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대북 대화의 조건을 설명하고 있는 장면에 16일 북한과의 대화조건을 언급하는 과정에서 비유한 '쿠키'를 합성한 사진[사진 국무부 홈페이지 등]

노어트 대변인은 "그건 마치 내 아이(my child)가 '엄마, 내가 과자를 몰래 훔쳐먹지 않으면 저에게 TV를 보게 해주실 거에요?'라 묻는 것과 같다. 그에 대한 답은 '노(No)'다"라고 비유했다. 기자들이 "그렇다면 김정은이 아이란 말이냐"고 묻자 노어트 대변인은 "그건 아니고 누군가가 뭘 하지 않는 대가로 보상을 받는 것에 대한 극단적 가정을 말한 것"이라고 말했다.  노어트 대변인은 중국이 한반도 위기 해법으로 주장하는 '쌍중단(雙中斷·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합동군사훈련 중단을 동시에 하자는 뜻)'도 단호하게 일축했다.
그는 중국의 제안을 '이중 동결(double freeze)'이라 표현한 뒤 "북한이 하고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와 핵 실험 등과 미국과 한국의 '합법적' 합동군사훈련을 등가(equivalency·동등한 가치)로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합동군사훈련은 1953년 체결된 상호방위조약의 정신에 입각해 오랜 기간 지속돼 온 것으로 앞으로도 변치 않고 계속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북한과의 대화를 원하긴 하지만 그 대화를 위해 핵·미사일 동결, 더 이상의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핵 실험 중단 등 당초 내걸었던 대화 조건을 크게 양보할 수는 없다는 걸 선제적으로 못박은 셈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이날 국무부 브리핑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축사에서 "한국의 동의없이 누구도 군사행동을 결정할 수 없다"는 발언이 사실상 '미국의 결정'을 제한한 것 아니냐는 질문이 쏟아졌다.
노어트 대변인은 "미 국방부가 한국과 얘기하고 있는 문제일지 몰라도 난 관련 대화에 관련돼 있지 않다"며 "다만 우리(미국)는 한국 정부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나누고 있다"고 원론적 답변을 반복했다.
워싱턴의 전문가들은 미국과 북한 양측이 당분간 치열한 신경전 속에 평행선을 달릴 것으로 보면서도 북한이 어떤 협상 카드를 내밀고 나올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애덤 마운트 미국진보센터(CAP) 연구원은 "과거와 달리 북한의 이번 성명 어디에도 다음 주 시작되는 한미 합동훈련을 '취소'해야 한다는 말이 없다"며 "또한 미국이 (북한의) 미사일 실험을 막을 수 있음을 북한이 시사한 것은 최근 몇 년 동안 처음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군축 협상의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보인다"며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매우 분명한 기회가 생겼다"고 지적했다.
제임스 액튼 카네기 국제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한국이나 일본 상공 위로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고, 대신 우리(미국)는 북한과의 국경에서 일정 거리 안에서 비행하지 않는 식의 합의가 이뤄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