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트럼프 56분 통화 "北, 핵·미사일 포기 위해 최대한 압박·제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핵 프로그램, 미사일 발사 시험 등 도발을 억제하기 위해 최대한 압박하고 제재를 가한다는 견해를 재차 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7일 오전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로 이 같은 서로의 입장을 확인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이날 두 정상의 통화는 약 56분 동안 이어졌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럼프 대통령과 56분간 통화하고 "한반도에서 두 번 다시 전쟁의 참상이 일어나는 것은 용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한·미 양국이 힘의 우위에 기반한 강력한 압박과 제재를 통해 궁극적으로 북한을 핵 폐기를 위한 협상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며 "북한이 핵을 포기하는 올바른 선택을 할 때 대화의 문이 열려 있음을 보여줄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7시 58분부터 오전 8시 54분까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고, 최근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따른 한반도의 엄중한 안보 상황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한·미 양국의 공조 및 대응 방안을 중점 협의했다"고 밝혔다.

또,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기술 고도화에 대해 심각한 우려 공유했다. 박 대변인은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심각한 우려를 공유했다"며 "한·미 양국이 긴밀히 공조하면서, 국제사회와 협력해 북한에 대한 최대한의 압박과 제재를 가해 북한이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해야 한다는데 공감했다"고 전했다.

이날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만 만장일치 채택과 관련해 "UN 안보리가 중국·러시아를 포함한 전 이사국들의 만장일치로 사상 유례없이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 제재 결의안을 채택하는 매우 중요한 상황 변화가 있었다"며 "북한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 강력한 압박과 제재를 가하는 등 확고한 입장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중국 및 러시아와 협조해 전례 없이 강력한 결의 채택을 이뤄냈다"며 "이번 결의가 북한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답했다.

한·미 두 정상은 8월 말 진행되는 한·미연합훈련을 전후로 북한의 도발이 있을 것을 대비해 공조를 지속하기로 했다.

또,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문제와 관련해서도 문 대통령은 "중국의 보복 우려가 있지만 빠른시간 내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미 FTA 관련 사안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막대한 무역적자 시정 위해 한·미 FTA 개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호혜적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번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내년 2월 방한을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까운 시일 내에 방문"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