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문사진관] "혹시 분점 내셨어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2015년 4월 서울 연희동에 문을 연 연희사진관(왼쪽). 2016년 12월 안산에 문을 열고 영업중인 A사진관(가운데)과 경주에서 올 4월 영업을 시작한 B사진관의 외관

지난 2015년 4월 서울 연희동에 문을 연 연희사진관(왼쪽). 2016년 12월 안산에 문을 열고 영업중인 A사진관(가운데)과 경주에서 올 4월 영업을 시작한 B사진관의 외관

서울 연희동의 '연희동 사진관'

서울 연희동의 '연희동 사진관'

경기 안산의 'A 사진관'

경기 안산의 'A 사진관'

경북 경주의 'B 사진관'

경북 경주의 'B 사진관'

 지난 2015년 4월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문을 연 '연희동 사진관'은 독특한 콘셉트와 인테리어가 젊은 층에 입소문이 나며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던 올 4월, 김규현 연희동 사진관 대표는 한 고객으로부터 황당한 전화를 받았습니다 "사장님, 혹시 분점 내셨어요?" 고객이 알려 준 곳을 인터넷으로 확인한 김 대표는 허탈함에 잠을 이룰 수 없었다고 합니다. 자신이 만든 사진관과 판박이처럼 닮은 곳이 또 있었기 때문이죠. 김 대표는 "외관 디자인도 손으로 직접 그렸고 간판 글자까지 전문가에게 부탁해서 만든 것이다. 제 손을 거치지 않은 것이 없다"며 "이제 막 자리 잡고 잘되기 시작했는데 따라 만든 사진관 사진을 보면 참담한 기분이 든다"고 했습니다. 그는 "바깥 인테리어가 큰 경쟁이라고 생각했는데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도둑맞은 것"이라며 "이런 경우 법으로 보호받기 어렵다고 하더라"며 속상한 마음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지난해 12월 경기 안산에서 영업을 시작한 A 사진관 대표는 "사진관을 위해 8월의 크리스마스에 등장했던 군산의 초원사진관을 10번도 넘게 가 봤고 옛날부터 아날로그 감성을 지난 사진관을 열고 싶었다"며 "고풍스러운 컨셉트의 사진관을 열기 위해 새마을 식당, 옛 분위기의 영화세트장 등을 다녔다. 거기서 본 것을 모티브로 삼아 만든 거라 연희동 사진관과 비슷하게 보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올 4월 경북 경주에 문을 연 B 사진관 관계자는 "연희동 사진관 대표의 마음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복고 느낌을 살리다 보니 비슷한 느낌이 든 것뿐"이라며 "우리는 핀터레스트라는 전 세계적인 아이디어 카탈로그를 참조했다"고 해명했습니다. 독자 여러분께서 보시기에는 어떻습니까?

사진 = 신인섭·전민규 기자, 글 = 전민규 기자 jeonm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