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싸라기’ 대구 대공원 부지 20여년 만에 개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대구시 수성구 대구미술관 옆엔 187만9000여㎡(57만여평) 크기의 자연 녹지가 있다. 도시 계획상 1993년부터 공원 부지(대구 대공원)로 지정된 곳이다. 국가와 대구시 땅, 개인 소유 토지(83%)로 구성돼 있다.

대구시, 동물원·공공주택 조성키로 #접근성 높이려 ‘범안로’ 무료화 추진

그런데 20년 넘게 공원으로 개발되지 않아 녹지 상태 그대로 남아있다. 2022년까지 개발 없이 녹지 상태 그대로 두면 공원 부지는 자동 해제(도시계획 일몰제)된다. 난개발이 발생할 수 있다. 지자체의 체계적인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계속 나온 이유다.

실제 수성구청 등 일부에선 건설사 같은 민간업체를 통해 부지를 빠르게 개발하자고 대구시에 적극 요구했다. 전문 건설업체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 추진을 대구시에 제안하기도 했다. 재산권 행사를 제한받는 토지 소유주들의 민원도 끊임없이 이어졌다.

이런 대구 대공원이 20여년 만에 민간업체가 아닌 대구시가 중심이 돼 개발된다. 대구도시공사가 주관해 테마공원을 조성하고 공동주택 부지 등을 만드는 공영개발 방식으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16일 기자회견을 열고 “민간에서 개발하면 환경보전 가치가 높은 1, 2등급 부지 훼손이 우려된다”며 시 주관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또 개발 이익을 민간이 아닌 시민들에게 돌려주기 위한 것도 시 주관 개발을 결정한 이유라고 덧붙였다.

대구시는 대구 대공원 부지에 동물원을 만들고 반려동물 테마공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환경등급 3~4급지 부지는 공동주택을 건설해 주택난 해소에 힘을 쓰겠다는 계획이다. 산림레포츠 시설도 만든다. 대구 대공원 부지 접근성을 올리기 위해 인근 유료도로인 ‘범안로’를 무료화하는 계획까지 세웠다.

대구시는 동물원 이전 등 공원조성에 필요한 사업비는 공공주택(3000세대) 분양 이익금으로 충당할 예정이다. 국비지원, 대구시 자체 재정도 일부 투자해 추진할 방침이다. 대략적인 개발 사업비는 1조500억원이다. 대구 대공원 부지의 최종 개발 완료 시점은 2022년이다. 부지 매입은 2019년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 대공원을 대구시의 랜드마크로 꾸며나가겠다. 대구를 넘어 위치나 조성될 콘텐트로 볼 때 국내 대표적 관광명소가 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