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취임식 어떻게 할까요” … 행자부·대통령 측, 새벽 1시 비밀 회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10일 낮 12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중앙홀(로텐더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선서식은 25분간 짧게 진행됐지만 준비 과정은 숨 가빴다.

당선 확실해진 9일 자정 첫 협의 #오전 6시 의정담당실 직원 총동원 #취임식 참석자 300명에게 연락

행정자치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당선이 확실해진 9일 자정쯤 문 대통령 측에 전화로 연락해 협의했고, 10일 오전 1시쯤 만나 세부적인 취임 행사 준비를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는 행자부 의정담당관실 관계자와 임종석 비서실장(당시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후보 비서실장) 쪽에서 참석했다. 양측은 취임식 장소 및 콘셉트에 대한 문 대통령의 뜻을 반영, 취임 행사를 선서 위주로 간소하게 치르기로 했다. 보신각 타종행사 및 군악·의장대 행진과 예포발사, 축하 공연 등은 생략하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국회에서 취임선서식을 마친 뒤 청와대로 향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국회에서 취임선서식을 마친 뒤 청와대로 향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통상 대통령 취임식은 당선 결정 후 인수위원회와 행자부가 두 달 정도 논의해 마련한다. 이를 통해 새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반영하는 식을 거행한다. 1987년 헌법 개정 후 직선제로 뽑힌 대통령의 취임식은 매번 2월 25일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열렸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에 따른 조기 대선이 치러진 이번에는 그럴 수가 없었다. 인수위도 없고 선거 기간 중에는 공무원의 중립의무 때문에 문 대통령 측과 사전에 접촉할 수도 없었다.

이런 이유로 행자부는 내부적으로 여러 시나리오별 취임식 모델을 마련해 두고 있었다. 행자부 관계자는 “문 후보 측과 사전에 접촉하지는 않았지만 ‘국회에서 간단히 한다’는 언론 보도 등을 바탕으로 취임 행사를 준비했다”며 “예전 같은 국회 앞마당 취임식도 검토는 했으나 가능성이 작아 큰 비중은 두지 않았다”고 말했다. 국회 외에 광화문·청와대에서 진행하는 방안도 나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취임 선서 행사 참석자 300여 명에게는 행자부 의정담당관실 직원 30여 명이 총동원돼 10일 오전 6시쯤부터 전화 등을 통해 비상연락을 취했다. 이날 취임 선서 행사에는 정세균 국회의장, 양승태 대법원장, 황교안 국무총리 등 5부 요인과 국회의원, 국무위원, 주요 군 지휘관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자부 관계자는 “주요 참석 대상자와 연락처는 미리 파악하고 있었다”며 “일부 인사는 직원이 직접 찾아가 알리기도 했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제 19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10일 청와대 본관 앞에 대통령 상징기인 봉황기가 펄럭이고 있다. 봉황기는 지난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이후 60일 동안 청와대에서 내려져 있었다. 전민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제 19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10일 청와대 본관 앞에 대통령 상징기인 봉황기가 펄럭이고 있다. 봉황기는 지난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이후 60일 동안 청와대에서 내려져 있었다. 전민규 기자

중앙선관위가 10일 오전 8시9분 문 대통령의 당선을 확정하자 그 직후 청와대에는 대통령을 상징하는 봉황기가 다시 올라갔다. 지난 3월 10일 박 전 대통령의 탄핵에 따른 파면 직후 내려진 지 60일 만이다.

염태정·강태화 기자 yonni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