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연기서 1급 발암물질 7종 검출..포름알데히드, 벤젠 등 "현기증, 백혈병 유발.."

중앙일보

입력

11일 식약처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궐련(연초) 담배와 전자담배를 수거해 발암물질 성분과 함유량 조사를 했다. [중앙포토]

11일 식약처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궐련(연초) 담배와 전자담배를 수거해 발암물질 성분과 함유량 조사를 했다. [중앙포토]

국내에서 판매되는 궐련(연초) 담배 연기에서 발암물질 성분 12종이 검출됐다. 벤젠 등 3개는 담배갑에 표시 경고된 성분이지만 9종 성분은 규정이 없어 표시 조차 되지 않았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궐련담배 및 전자담배의 유해성분 함유량 자료에 따르면 담배 연기에서 국제암연구소(IARC)가 분류한 1급 발암물질 7종과 2B급 발암물질 5종 등 모두 12종의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국제암연구소는 인체에 미치는 정도에 따라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다고 여겨지는 발암물질을 1급, 추정 물질을 2A급, 가능성 있는 물질을 2B급으로 나눈다.

이번 연초 담배에서 나온 1급 물질은 포름알데히드와 벤젠, 1-아미노나프탈렌, 2-아미노나프탈렌, 1,3-부타디엔, 벤조피렌, 4-아미노비페닐이다.  

이중 우리에게 '새집증후군'의 주범으로 알려진 포름알데히드는 단열재나 접착제에 많이 쓰이는 물질로 사람의 피부와 점막을 자극하고 인두염, 기관지염, 현기증, 질식을 유발한다.

벤젠은 노출시 통상 두통과 현기증을 일으키며 고농도 접촉시 소화기계, 간, 신장, 피부에 독성이 퍼져 발작, 혼수상태에 빠지고 장기간 노출 시 재생불량성 빈혈과 백혈병을 유발할 수 있다.

궐련에서는 발암물질까지는 아니지만, 유해물질로 인정되는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 시안화수소 등 20개 성분도 추가로 검출됐다.

현행 표시제도는 '담배사업법'에 의거 담배갑에 니코틴과 타르, 벤젠, 나프틸아민 등 7종에 대해서만 함유량과 성부 등을 표기하도록 의무화 돼있다. 그 외는 표기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최근 이용 인구가 늘고 있는 전자담배에서는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와 아세트알데히드, 유해성분인 니코틴, 아세톤, 프로피오달데히드가 나왔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궐련담배 및 전자담배의 유해성분과 함유량 자료. IARC는 국제암연구소의 약칭으로 숫자는 발암물질 등급. [자료 식약처]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궐련담배 및 전자담배의 유해성분과 함유량 자료. IARC는 국제암연구소의 약칭으로 숫자는 발암물질 등급. [자료 식약처]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궐련담배 및 전자담배의 유해성분과 함유량 자료. [자료 식약처]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궐련담배 및 전자담배의 유해성분과 함유량 자료. [자료 식약처]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