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군국주의 교육 강화, 학교에서 ‘총검술’ 가르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본의 총검술은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중앙포토]

일본의 총검술은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중앙포토]

아베 신조 정권의 초·중등학교 내 군국주의화가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5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총검술’을 중학교에서 선택과목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했다. 총검술은 제국주의 시대 군인들이 배우던 과목으로 나무·총을 사용해 상대의 목이나 몸통을 찌르기 기술을 겨루는 경기다. 일본의 패전 후 연합군 최고사령부는 총검술 등 무도를 일본 제국주의 상징으로 보고 교육을 금지했었다.  
앞서 2012년 일본 정부는 중학생 체육 필수 과목에 ‘무도’를 포함했다. 지난 2월 고시한 중학교 학습지도요령 안에는 무도 과목 내 선택과목으로 유도, 검도, 스모에 궁도(활쏘기), 합기도, 소림사권법만이 추가됐었다. 그런데 지난달 31일 확정된 내용에 총검술이 기습적으로 들어갔다. 이에 따라 각 학교 재량으로 총검술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함께 일본 정부는 제국주의 시대에 암송되던 '교육칙어'를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교육칙어는 1890년 메이지 천황이 발표한 제국주의 시대 교육의 원칙으로 국민의 충성심, 효도심이 국체의 정화이자 교육의 근원이라는 선언이다. 일본 정부의 이러한 결정은 어린 시절부터 군국주의적 사고를 몸에 익히도록 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일본 언론인 도쿄신문은 “개인보다 국가를 우선시하는 사상인 교육 칙어 복권을 허용할 수 없다”고 말했고, 마이니치신문은 “교육칙어가 군국주의 교육을 조장할 것”이라는 등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