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포인트레슨] 역모기지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3면

부동산으로 노후를 준비할 수는 없을까. 자산 규모가 한정된 보통 직장인들로선 쉽게 정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이 아니다. 대부분 결혼하고 조그만 전셋집에서 시작해 이르면 40대 초반에나 내 집을 마련하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일반인들은 직장에 몸담고 있는 동안 내 집을 통해 재테크를 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은 1990년대 초반과 최근의 주택가격 상승세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주기적인 집값 상승을 통해 자산을 늘릴 수 있는 기회가 온다. 물론 주택 보급률의 증가로 전과 같은 폭등세는 기대하기 힘들지만 입지 조건이 좋은 주택을 잘 선택하면 주거 안정은 물론 금융자산에 비해 자산가치를 크게 늘릴 수 있다. 주택시장이 가장 활성화된 서울만 해도 입지적 강점과 좋은 여건을 갖춘 주택은 가격 상승률이 다른 주택보다 더욱 높아 90년대에 비해 가격 차이가 크게 벌어진 상태다.

제도 변화도 주택을 통한 노후 대비의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지난해 본격적으로 소개된 '역모기지론(장기주택저당대출)'이란 상품 때문이다. 선진국에서 보편화된 역모기지론은 주택을 담보로 금융회사에서 일정한 기간 일정한 돈을 연금식으로 받는 상품이다. 현재 판매되는 역모기지론은 집값의 60% 정도로 최장 15년간 매달 조금씩 대출받는 형태로 돼 있다. 이자는 변동금리를 적용할 때 6% 정도이고, 고정금리는 8% 안팎이다. 노후 대비를 위해 국민연금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노후 생활비를 충당하기엔 금액이 많지 않아 목돈을 얻을 수 있는 역모기지론은 중요한 노후 대비 수단이 될 수 있다. 다만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고, 자기 집을 담보로 생활비를 충당한다는 데 부정적 인식이 많아 아직까지 활성화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각종 제도 개선을 통해 정책적으로 뒷받침된다면 주택을 소유한 서민들에겐 좋은 노후 준비법이 될 수 있다. 최근 정부도 역모기지론의 활성화뿐 아니라 임대 아파트까지 역모기지론과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선진국 사례처럼 노후준비 수단으로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김재언 삼성증권 부동산 컨설턴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