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망명ㆍ총살ㆍ자살ㆍ탄핵…모실만한 대통령 없어” 한탄

중앙일보

입력

“한 번 모셨으면 하는 대통령이 없다”고 말한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 [중앙포토]

“한 번 모셨으면 하는 대통령이 없다”고 말한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 [중앙포토]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는 “한 번 모셨으면 하는 대통령이 없다”고 한탄해 하며 “초대 대통령은 망명해 돌아가셨고, 두 번째는 부하에 의해 살해됐고, 그 다음에는 자살하는 대통령, 마지막으로 탄핵하는 대통령을 본 것”이라고 밝혔다. 역대 대통령을 두고 한 말이다. 각각 이승만ㆍ박정희ㆍ노무현ㆍ박근혜 전 대통령을 지칭한 것이다.

“시민의 힘으로 대통령이 탄핵당했다는 것은 #우리나라 미래에 보다 밝은 징조가 아닌가 싶다”

김 전 대표는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우리미래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역사에서 교훈 삼아 그런 것이 반복되지 않도록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이냐는 물음에 우리가 각성하지 않으면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김 전 대표는 헌법재판소의 박 전 대통령 파면 결정에 대해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매우 성숙해졌다”며 “헌법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면 그냥 넘어갈 수 없다는 교훈을 남겼다”고 높이 평가했다.

김 전 대표는 “최근 민주주의 국가가 됐다가 권위주의로 돌아가는 경우도 있는데, 소위 시민의 힘으로 대통령이 탄핵당했다는 것은 우리나라 미래에 보다 밝은 징조가 아닌가 싶다”고 전망했다.

그는 또 방송인 김제동과 각종 현안에 대해 자유 문답하면서 경제민주화에 대해 “내가 몇 년 동안 경제민주화를 강조하니까 재계가 경각심을 가진 것”이라며 “‘어떻게 하면 저걸 무너뜨릴 수 있을까’, ‘재계가 대통령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고민해서 찾은 것이 비선이다”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이번 국정농단 사태의 원인을 재계의 정치 개입이라 진단했다. 이어 김 전 대표는 “그 사람들(비선)을 장악하면 대통령을 움직일 수 있다. 재계가 이미 정치를 장악했다는 것과 똑같은 얘기”라며 “지난 대선 공약으로 대기업의 순환출자를 끊어야 한다고 했는데, 그것을 뒤집기 위해 가장 대통령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찾다 보니 이번 사태가 난 것”이라고 말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