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반대” 말하며 “한·중 수교 25주년” 강조한 왕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왕이 외교부장. [신화=뉴시스]

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왕이 외교부장. [신화=뉴시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8일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에 반대하는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기간을 맞아 열린 정례 내외신 기자회견에서였다.

사드 반입에도 표현 수위 누그러져 #미·중 정상회담 앞두고 조절 분석

그는 “한·중 관계의 가장 큰 문제는 한·미 양국이 한반도 사드 배치를 고집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사드에 대해 처음부터 결연히 반대했다”고 말했다. 이어 “사드의 관측 범위는 한반도를 훨씬 넘어서고, 중국의 전략 안보 이익을 침해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분명 잘못된 선택이고 이웃 나라로서의 도리를 어긴 것이자 한국 안보를 더 위험하게 하는 행위”라며 “사드 배치 절차를 즉각 중단하고 잘못된 길에서 더 멀리 가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왕 부장의 발언이 예상보다 낮은 수위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지속하면서도 외교적 갈등이 깊어지는 것은 우려하고 있다는 관측이다.

실제 왕 부장은 회견에서 “올해는 한·중 수교 25주년으로 매우 중요한 해다. 양국 국민의 노력으로 얻은 성과를 매우 소중히 생각하고 있고 한국과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 국면을 지켜 나가길 원한다”는 말도 했다. 중국 외교부가 회견 전부터 한국 기자를 상대로 “사드에 국한하지 말고 한·중 관계 전반에 대해 질문해 달라”고 부탁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베이징 외교가에선 중국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기엔 아직 이르다면서도 몇 가지 분석을 내놓았다. 우선 3월 말∼4월 초로 추진 중인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에 앞서 대립각을 세우지 않겠다는 것이다. 또 중국의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전인대와 정치협상회의) 기간 중이어서 질서 유지 등을 위해 상황관리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중국의 과도한 사드 대응이 효과는 거두지 못하고 한국 국민의 반중 감정만 부채질했다는 인식이 중국 내부에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일단 양회 폐막 이후를 지켜보고 미·중 정상회담 결과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