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퇴직하는 가장 큰 이유는…30대 '과도한 업무', 40대 이상 '퇴직 압박'

중앙일보

입력

한창 업무에 매진할 시기인 중장년층 직장인이 몸 담았던 회사를 떠나는 이유는 뭘까.

30대 '구직 기간 장기화' 불안 커…40대 이상은 '경제적 어려움'

벼룩시장구인구직이 30대~40대 이상을 774명으로 대상으로 ‘취업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높은 업무 강도’, ‘회사 상황 등 퇴직 압박’에 따른 퇴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퇴직 이유는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다. 30대는 강도 높은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28.5%)가 많았다.

퇴직압박(16.3%), 자기 계발 등 새로운 일을 찾기 위해(13.8%), 임신?육아로 인한 직장생활의 어려움(11.4%),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11.4%)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30대 직장인 퇴직 이유는

30대 직장인 퇴직 이유는


40대 이상은 퇴직압박(34.1%)이 가장 큰 이유였다. 자기계발 등 새로운 일 찾기(17%), 높은 업무 강도(11.9%) 등도 퇴직 이유였다.

재취업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30대는 일자리 부족(35.8%)을 꼽았다. 경험?경력 등 스펙 부족(26.0%), 취업정보 부족(22.8%) 등이 뒤를 이었다.

40대 이상은 나이 제약(31.1%)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다. 취업정보 부족(29.6%), 일자리 부족(20.7%)도 재취업 걸림돌로 작용했다.

40대 이상 직장인 퇴직 이유는

40대 이상 직장인 퇴직 이유는

구직 과정에서 느끼는 불안감도 연령별 차이가 있었다. 30대는 경제적 어려움(21.1%)보다 구직 활동이 장기화(32.5%)됐을 때 더 큰 불안감을 느꼈다. 미래가 막막하게 느껴질 때(30.9%)도 불안감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0대 이상 10명 중 4명은 경제적 어려움이 닥쳤을 때(40.7%) 큰 불안감을 느꼈다. 이어 미래가 막막하게 느껴질 때(23.7%), 구직활동이 장기화 될 때(20%) 등이 꼽혔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