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787-9로 경영 효율화 '올해 매출 12조원 목표' … 부채비율도 낮출 수 있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조원태(사진) 대한항공 사장은 27일 보잉 787-9 항공기에 대해 “노선 수요에 맞춰 적재적소에 공급한다면 경영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인천국제공항 격납고에서 개최한 ‘보잉 787-9 차세대 항공기 도입 기념식’에서다. 이날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그는 “올해 12조원 매출이 목표”라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도입 기념식에 나온 조원태 사장

보잉 B787-9에 이은 최신 기종인 B787-10은 9개 항공사가 도입을 결정했는데
“B787-10 동체가 조금 더 길어 40여명 더 탑승할 수 있지만, 최대이동거리(6000마일)가 B787-9보다 약 1000마일 정도 짧다. 한 번 주유하면 B787-9는 한국에서 LA까지 한 번에 날아갈 수 있지만, B787-10은 못 간다. 한국에서 도입하기에는 다소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2020년까지 인도받을 10대의 B787 항공기 중 일부를 B787-10으로 바꿀 수 있는 옵션조항이 있어 필요하면 활용할 수 있다.”
올해 대한항공 매출 목표는.
“연간 12조원 매출이 목표다. 부채비율을 낮추고 매출 규모도 꾸준히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최근 단기적으로 유가가 상승해 항공산업 환경이 좋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튼튼한 기업이다.”
부채비율을 낮추는 복안은.
“ 항공기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채는 장기(15년) 상환한다. 반면 비행기는 들여오는 순간부터 꾸준히 매출이 창출된다. 신기종으로 매출을 극대화해서 부채를 빠르게 갚아나가겠다.”
사장으로서 경영철학이 있다면.
“경영자로서 철학은 ’직원 행복과 주주 가치 창출’이다. 물론 2012년 이후 한 번도 배당을 못했지만 차차 개선해나가겠다.”
최근 논란이 됐던 항공기 난동승객 진압 관련한 추가 대책은.
“지난해 발표한 기내 보안 개선 방안과 더불어 승무원들이 하는 진압 행위에 대해 회사가 100% 지원하도록 방침을 세웠다.” (승무원이 과잉진압 논란에 휘말릴 것을 걱정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일이 없게 회사가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문희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