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에게 친절한 남자, '페미니스트'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여자에게 친절한 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는 표준대사전의 '페미니스트' 뜻풀이가 바뀐다. 

국립국어원은 21일 표준국어대사전 수정 내용 32건을 공개했다. 현재 사용하는 의미·용법이 다른 것은 바로잡고, 새로운 표제어는 추가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수정 #페미니스트의 두번째 뜻풀이 '여자에게 친절한 남자' 삭제

수정안에 따르면 페미니스트는 첫 번째 뜻풀이인 '페미니즘을 따르거나 주장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두 번째 뜻풀이였던 '여자에게 친절한 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던 말'은 삭제했다. 두 번째 뜻풀이에 대해 여성계는 한국사회의 낮은 성평등 의식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반발해왔다. 

장애인에 대한 정의도 바뀌었다. 기존 '정신적으로 결함이 있어서'라는 표현은 '정신 능력이 원활하지 못해'로,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는 사람'은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이 있는 사람'으로 변경됐다.

또 한국어가 어떤 어족(語族)에도 포함되지 않는 고립된 언어라는 일각의 주장이 수용돼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가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로 바뀌었다. 문안은 '사대문 안'이라는 뜻에 '문의 안쪽'이라는 의미가 추가됐고, 해맑다는 '하얗고 맑다' 외에도 '사람의 모습이나 자연의 대상 따위에 잡스러운 것이 섞이지 않아 티 없이 깨끗하다'와 '소리가 탁하지 않고 경쾌하다'는 뜻으로도 쓸 수 있게 됐다.

이밖에 경주무열왕릉, 경주불국사, 머리둘레, 엉덩이둘레, 열차표, 영화표, 와닿다, 제삼(논의하거나 고려하지 않은 전혀 다른 것. 예:제삼의 방안) 등은 붙여쓰기를 허용해 새로운 표제어로 등록됐다.

최민우 기자 minw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