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카쿠 지켜달라”…아베가 트럼프에 목 메는 또 한가지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센카쿠(尖閣)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지지통신]

센카쿠(尖閣)를 지켜주오-.

10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미일 정상회담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챙겨 갈 의제다. 일본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에서 센카쿠(尖閣)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방위 문제를 확답받고자 사활을 걸고 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오키나와 현 센카쿠 열도가 미일 안전보장조약 5조의 적용 대상이란 점을 트럼프 정권에 확인 받겠다”고 밝혔다. 미일 안보조약 5조는 “일본의 행정력이 미치는 영역이 무력공격을 받을 경우 미국이 일본과 함께 공동 대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트럼프 취임 후 첫 만남에서 아베 총리가 안보조약까지 들먹이려는 것은 센카쿠 열도에 대한 중국의 압박이 날로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9일엔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폭격기를 포함한 중국 군용기 10여 대가 한국과 일본의 방공식별구역(ADIZ)을 휘젓고 다니기까지 했다.

일본의 우선 공략 대상은 3일 방일하는 제임스 매티스 신임 미국 국방장관이다. 스가 장관은 “(매티스 장관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트럼프 정권과 (센카쿠 열도 방위협력을) 확인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아베 총리도 같은 입장을 나타냈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31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미일 안보조약 5조는 매우 중요하다. 유사 시 미군이 지원한다는 안보조약의 기본이 불변이란 점을 정상회담에서 재확인하겠다”고 말했다.

일본이 미국과 정상회담을 서두른 게 센카쿠 이슈 때문이라는 관측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지난달 22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의 발언에서도 그런 초조함이 읽혔다. 기시다 외상은 이날 후지TV 보도 프로그램에 출연해 “센카쿠 열도의 미국 방위 의무 확인”이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라고 밝혔다.

일본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에도 센카쿠 열도 방위협력을 여러 차례 확인받는 작업을 했다. 2014년 오바마-아베 정상회담 땐 공동성명에 이 같은 내용을 명기해 중국의 강력 반발을 사기도 했다.

박영준 국방대학교 교수는 “중국과의 영유권 분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것은 물론 실질적인 대중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해 정상회담 이슈화에 적극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신정권과도 빨리 매듭짓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분석했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