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지역에 추가 강진 발생 가능성은 낮아"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9월 12일 규모 5.8의 강진이 발생한 경북 경주 지역에서 앞으로도 규모 2~3 정도의 여진이 발생할 수 있으나 규모 5 정도의 강한 지진이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는 조사결과가 제시됐다.

지질자원연, 포항서 중간조사 결과 공개
규모 5.8 강진 때 응집에너지 90% 방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신중호)은 24일 경북 포항시 흥해읍 포항지질자원실증연구센터에서 열린 동남권 지진·단층 연구사업 계획 발표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경주 지진 중간 조사 결과를 밝혔다.

연구원 측은 "지난해 경주 지진과 여진을 더 큰 지진의 전조로 보기는 어렵고, 지난해 9월 규모 5.8의 강진 발생 첫날에 단층에 응집된 에너지의 90% 가량이 방출됐기 때문에 추가로 대형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도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9월 강진은 양산단층대에서 갈라져나온 지류 단층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경주지진은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양산단층에서 25도가량 벌어진 주향이동 단층(두 개의 지층이 서로 상반되는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져 형성되는 단층) 활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진은 지하 11~16㎞ 부근에서 발생했다. 이번 지진으로 파열된 단층면의 폭과 길이는 진원지 부근에서 각각 5㎞ 내외로 파악됐다.

하지만 지질자원연구원 선창국 국토지질연구본부장은 "한반도 동남권 지역에서 제4기 단층의 존재가 이번에 다수 확인돼 단층운동에 따른 지진 재해 발생 가능성은 여전히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국비 45억 원을 들여 올해부터 경주 지진 발생지역에 대해 지진관측과 정밀 지질조사, 탄성파 탐사 심도 확대 등 지속적인 지진·단층 연구를 추가로 수행할 예정이다.

강찬수 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