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대통령후보 조정 당사자 담판이 최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처음「민주당」호칭 사용>
3일 상오 열린 민정당 당직자회의에서는 노태우대표위원의 6·29선언 세부실천계획과 관련, 국민적 합의를 도출한다는 차원에서 노선언의 8개항에 대해 개인이든 단체든 간에 훌륭한 방안을 당에 제시해 주면 적극 환영키로 결정. 김정남대변인은『노대표 선언에 담긴 진실한 뜻이 무엇인가를 당원들에게 더 깊이 이해시킨다는 차원에서 노대표의 친서를 1백60만 당원에게 곧 보내기로 했다』고 발표.
김대변인은 여야중진회담과 관련, 『중진의 범위는 당의 의사결정에 책임을 질 사람이 나서면 될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협상대표를 선정해야 할 필요가 있겠느냐』고 반문.
김대변인은 처음으로 통일민주당을「통민당」으로 부르지 않고「민주당」으로 호칭했는데『앞으로도 민주당이라 공식 부르겠느냐』는 질문에 『실수』라고 얼버무렸다.

<두사람 표대결은 없을 것>
야권의 대통령후보자 조정시기를 놓고 동교·상도동 간엔 벌써부터 『즉각 실시되어야 한다』『지금은 내부문제에 신경을 쓸 때가 아니다』고 이견.
불출마선언 사슬을 무리없이 풀어야 하는 동교동계로선 시간적 여유가 필요한데 김대중의장측은 외신회견 등에서 『여야개헌 협상이 끝날 때 쯤』『2∼3개월후』등으로 표현.
이에 반해 상도동계는 협상의 이니셔티브를 쥐고 있고 불출마선언의 유효성이 없어지기 전에 빨리 매듭지어질 것을 희망하고 있는 눈치인데 김영삼총재는 『후보조정 역시 늦출 필요가 없다』고 강조.
당내에서는 두사람의 후보조정방법에 대해 △당내경선△당외기구, 즉 별도의 대통령 추대기구에서의 결정△제3자 중재△당사자 담판등 추측이 구구한데 경선 가능성은 희박하고 현재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당사자 담판.
김현규총무·고재청의원 같은 이들은 『두사람이 조용한 장소에서 방문을 걸어 잠그고 하루가 되든 이틀이 되든 둘이서 결정을 짓고 나오게 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제시.

<집단민원 폭발조짐 우려>
이한기국무총리서리는 2일하오 국무회의에서 『각부 장관들은 새로운 각오를 갖고 노태우 민정당대표의 건의에 따른 전두환대통령의 결단을 안정과 질서 속에서 차질없이 실행할 수 있도록 소관부처별로 실천계획을 조속히 수립하라』고 독려.
국무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난 이웅배문공장관은 『노대표의 선언이 있은 다음 날인 30일 하룻동안 전국적으로 집단 민원항의가 30건으로 대폭 늘어났다』며 정국의 화해 분위기를 타고 사사로운 일까지 집단으로 해결하려는 조짐을 우려.
이장관은 김대중씨의 사면·복권 시기에 대해 『모든 것은 절차가 있는 것이며 그 문제는 행정차원의 준비에 이어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야 하는 일』이라고 말하고 『현재는 행정차원의 준비단계』라고 설명.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