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아파트 분양실적이 ‘반토막’ 난 이유는

중앙일보

입력

지난달 전국에서 분양승인을 받은 아파트가 1년 전에 비해 반 토막 났다. 11·3 부동산 대책 여파로 아파트 분양 일정이 줄줄이 미뤄진 영향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전국 공동주택 분양물량이 3만7878가구로 지난해 11월보다 48.4% 감소했다고 28일 밝혔다. 특히 수도권이 1만9729가구로 54.6% 급감했다. 김이탁 국토부 주택정책과장은 “1순위 청약자격 제한 등이 담긴 주택공급 규칙 개정으로 분양 일정이 조정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10월 말부터 주택공급 규칙이 바뀌기 전인 지난달 14일까지 신규 아파트 분양을 위한 사전 절차인 분양보증을 중단했다. 11·3 대책을 통해 지정된 서울과 경기 일부 등 ‘청약 조정지역’ 37곳에 한해서다. 이는 11·3 대책의 ‘정책 시차’를 메우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서울의 재개발·재건축 단지와 수도권 택지지구 분양이 11월 하순이나 12월로 미뤄지면서 11월 수도권 분양실적이 크게 줄었다”고 말했다.

지난달 주택 인허가 실적은 6만4833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2% 증가했다. 수도권은 3만7166가구로 같은 기간 42.4% 늘었지만, 지방은 2만7667가구로 24.7% 줄었다. 수도권 인허가 물량이 늘어난 것은 경기도 광명시 재개발(6929가구)과 의정부시 용현주공 2단지 재건축 사업(2562가구) 영향이라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한편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5만7582가구로 전월 대비 0.2% 줄었다. 3개월 연속 감소세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1만168가구로 6.5% 감소했다.

황의영 기자 apex@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