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내포신도시 축산악취 해법 놓고…홍성군 - 충남도 서로 책임 떠넘기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충남 내포신도시(홍성·예산) 축산악취 문제를 놓고 충남도와 홍성군이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본지 11월 23일자 21면>

홍성군의회 “도지사가 해결하라”
안희정 지사는 지원 사실상 거부
해결방안엔 축사 이전·폐업 공감대

홍성군의회 의원들은 지난 20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축산악취에 따른 열악한 정주 여건으로 기업들이 내포신도시 첨단산업단지 입주를 꺼리고 있다”며 “주민들이 축산악취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지사가 전면에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가 19일 송년기자회견에서 “내포신도시는 홍성군 자치영역으로 도지사에게 와서 정치적으로 공격하면 안 된다”고 말한 것에 대한 반박이다. 안 지사는 송년기자회견에서 “도와 달라는 것은 이해하지만 축산악취로 고통받는 곳이 많다”며 “도청에서 데모하지 말고 해당 시·군이 풀어야 할 일”이라며 지원 확대를 사실상 거부했다.

홍성군의회는 경기도 양주시와 동두천시가 내포신도시와 유사한 문제로 갈등할 당시 경기도가 축사 이전과 폐업 보상비의 70%를 부담한 것을 예로 들며 “충남도가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남도와 홍성군은 축산악취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이 축사 이전과 단계적 폐업이라는 점에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예산 배분에 있어서는 상반된 입장이다. 충남도는 악취저감 예산 절반(10억4000만원)을 부담하겠다고 하고 홍성군은 이전·폐업 예산 전액을 내놓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폐업에는 700억원 정도가 필요하다.

내포신도시 반경 5㎞ 내에는 448곳의 농가에서 소·돼지·닭 25만1000여 마리를 사육 중이다. 2㎞로 좁혀도 25개 농가에서 12만4000여 마리를 키우고 있다. 이 때문에 가축 분뇨 등에서 발생한 악취가 바람을 타고 신도시로 몰려온다. 여름철이면 더 심하다.

김석환 홍성군수는 “내포신도시 조성 초기부터 충남도에서 축사 문제를 고려했어야 한다”며 “신도시 조성된 이후 홍성군에게 책임을 떠넘기면 어떻게 하냐”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hin.ji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