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비박 ‘4월 퇴진 6월 대선론’ 급부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새누리당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내년 4월 퇴진-6월 대통령 조기 선거 카드가 급부상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11월 29일 3차 대국민 담화에서 “임기 단축을 포함한 진퇴 문제를 국회에 맡기겠다”고 밝히면서도 구체적인 퇴진 시기를 적시하지 않았다. 이에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준비해 온 새누리당 비주류 모임 비상시국위의 대변인 황영철 의원은 30일 브리핑에서 “대통령이 스스로 (원로들이 제시한 퇴진 시점인) 내년 4월 말까지 자진 사퇴하겠다고 시한을 명확히 밝힌다면 탄핵안 표결을 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내년 4월에 물러나면 선거법상 60일 이내 대통령 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

서청원·정진석 “원로들 제시 방안, 야당과 협상을”
비박 일부 “자진사퇴 시한 밝히면 탄핵 안 할 수도”
우상호 “예정대로 탄핵” 야권 일부 “전략 다시 짜야”

친박계 맏형인 서청원 의원도 측근을 통해 “4월 퇴진에 대한 당내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당내 지도부가 야당과 협상에 나서 주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원로들이 제시한 ‘4월 사퇴, 6월 대선’ 일정이 준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대통령은 국회가 어떤 결정을 하든 여야가 합의해 결정한 사안은 수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주류 측의 한 재선 의원은 “대통령이 하야를 의미하는 임기 단축까지 천명한 마당에 탄핵 찬성 입장을 그대로 밀어붙이기 부담스러운 비박계 일부와 탄핵소추안 의결만은 막아야겠다는 친박계의 이해가 내년 4월 퇴진론으로 수렴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심상정 정의당 대표 등 야 3당 대표들은 이날 오전 회동에서 새누리당의 탄핵불가 요구를 일축하고, 선(先) 탄핵 추진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야 3당 대표들은 ▶박 대통령이 제안한 임기 단축 관련 여야 협상을 거부하고 ▶탄핵을 12월 2일 또는 9일까지 추진키로 의견을 모았다.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는 중앙일보 통화에서 “여당이 대통령의 퇴진 날짜를 정해 오든, 대통령이 퇴진 날짜를 컨펌하든(확실히 밝히든) 우리는 이와 무관하게 12월 9일까지 예정대로 탄핵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4월 퇴진론은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민주당 비주류와 국민의당 내부에선 “박 대통령의 퇴진 일정이 확실히 나온다면 대응전략을 새로 짜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일부 나오고 있다.

관련 기사

황영철 의원은 “12월 8일 밤까지 (4월 퇴진론에 대해) 여야 합의가 안 되고,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 없을 경우 9일 탄핵 표결에 참석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4월 퇴진론’에 직접 입장을 내놓을지, 그 경우 새누리당 내 비박계의 탄핵 찬성 대열이 흩어질지, 탄핵안 의결 정족수(200명) 미달의 위험을 무릅쓰고 야 3당이 탄핵 표결을 강행할지가 9일까지 펼쳐질 탄핵 정국의 새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서승욱·유성운 기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