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월째 공백인 인천항만공사 사장…최순실 사태로 더 길어질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인천항만공사는 현재 2개월째 사장이 없다. 지난 9월 유창근 사장이 현대상선으로 갑자기 자리를 옮겼기 때문이다. 현재 인천항만공사는 경영본부장이 사장 대행을 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사장 선임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가 구성되긴 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 번도 회의를 열지 못했다. 인천항만공사 항만위원 4명과 외부인사 2명으로 구성된 임원추천위원들의 일정 조율이 쉽지 않아서다.

회의를 열고 임원추천위원장을 선정한 뒤 응시자격, 공모 일정 등을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만 통상 2개월. 하지만 회의 일정이 계속 지연되거나 적합한 응모자가 없어 재공고를 하면 시간은 더 길어질 수밖에 없다. 인천항만공사는 오는 25일 첫 회의를 열기 위해 위원들의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상태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사장 임기가 3년이라 지금까진 임기가 끝나기 전에 공모 절차를 진행했는데 이번엔 유 전 사장이 갑자기 현대상선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이런 일이 생겼다"라며 "지금 상태로만 보면 연말이 지난 뒤에나 공모절차를 밟을 것 같다"고 말했다.

공모 절차가 마무리되도 문제다. 인천항만공사 임원 임명은 임원추천위원회가 공모를 통해 통해 3~5명의 후보를 추천하면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운영위원회에서 1명으로 압축한다. 이를 해양수산부 장관이 임명하는 형태다.

문제는 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으로 정부가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기관 등의 정책추진이나 인사문제 등도 정체된 상태다. 인천항만공사 임원추천위원회가 후보를 추천해도 후속절차가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인천항만공사도 고민이다. 현재 인천 신항 배후단지 조성이나 골든하버 개발사업 등 현안이 산적해 있어서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경영본부장이 사장 대행을 하고 있어 업무 공백이 크지 않고 최순실 사태 등으로 정부 인사시스템도 스톱된 상황이다 보니 임원추천위원회도 공모 절차를 서두르지 않는 분위기"라며 "하지만 신규 사업이나 규모가 큰 사업은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는 만큼 신임 사장이 빨리 선임되야 하지않겠느냐"고 말했다.

인천=최모란 기자 m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