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이혜훈 등 여야 14명 “질서 있는 퇴진” 한목소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여야 의원 14명이 15일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가 나서 박근혜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을 위한 절차와 방법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대선주자도 여야 넘어 물밑접촉
김무성, 제3지대론 정의화 만나
남경필 “당 해체 않을땐 중대결심”

질서 있는 퇴진이란 당장 박 대통령이 물러나는 게 아니라 정치일정을 마련해 놓고 하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날 회견에는 새누리당 의원 5명이 참여했다. 김재경·이종구·이혜훈·정병국·황영철 의원 등이었다. 야당 의원들은 더불어민주당 민병두·박영선·변재일·송영길·우원식 의원, 국민의당 박주현·유성엽·주승용 의원, 정의당 김종대 의원 등이었다. 대부분 여야의 비주류에 속한 중진 의원들이었다. 이들은 “박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 절차와 국정공백 해소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회 본회의 또는 전원위원회를 소집하자”고 요구했다. 본회의는 교섭단체 간 합의로 열 수 있고, 전원위원회는 재적의원 4분의 1 이상 요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들은 “최소 의원 75명의 서명을 받겠다”고 밝혔다.

박영선 의원은 “여야 의원이 공동으로 행동에 나선 가장 큰 의미는 (대통령의) 퇴진을 위한 국회의 1차 진지를 확보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혜훈 의원은 “(여야의) 상황이 다르지만 지도부 중심으로 정국을 푸는 논의를 하는 것은 국민의 민의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차기 대선주자들도 여야의 경계선을 넘나들면서 물밑 접촉에 나섰다.

새누리당 비박계인 김무성 전 대표는 지난 10일 ‘제3지대론’을 주장하고 있는 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비공개 회동을 했다. 회동에서 정 전 의장은 “새로운 중도보수정당을 함께 만들어보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전 대표의 반응이 부정적이지 않았다고 정 전 의장 측 관계자가 전했다. 김 전 대표는 지난 15일 “이정현 대표 사퇴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또 다른 돌파구를 찾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의화 전 의장은 최근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와 수차례 회동했다.

독일을 방문 중인 새누리당 남경필 경기지사도 지난 15일 현지 기자간담회에서 “새누리당이 해체 후 재창당하지 않으면 ‘중대 결심’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정현 대표와 당 대표 뒤에 숨어 있는 ‘진박(진실한 친박근혜계)’은 정계 은퇴하라”고 요구했다. ‘중대 결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사실상 탈당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새누리당 내 비주류 모임인 비상시국회의 소속 장제원 의원은 “국민신뢰가 완전히 추락한 상황에서 남 지사 얘기에 공감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말했다.

차세현·이충형 기자 cha.sehy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