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후속 조치 서둘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문교부가 확정 발표한 대학 입시 제도 개혁 내용은 신입생 선발권을 대학 자율에 완전히 일임해야 한다는 궁극적인 목표에 한 발 다가선 전향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현행 대입 제도가 실시된지 7년만에 다시 바뀌는 셈이다. 교육 제도의 갖은 변사는 갖가지 부작용과 혼란을 가져오는 원인이 되고 학교 교육을 자칫 그르칠 위험도 없지 않다. 그러나 잘못된 제도의 개선은 빠를수록 좋다는 뜻에서 우리는 「눈치 작전」과 「배짱 지원」으로 요약되는 현행 대입 제도를 바꿀 것을 그동안 여러 차례 주장해 왔다.
교육 개혁 심의회가 25일 대통령에게 보고하여 확정된 이번 대입 제도 개혁의 주요 내용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것은 선 지원-후 시험이다.
먼저 학력 고사를 보고 그 성적에 따라 수험생이 학교와 학과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생겼던 「붙고 보자」식 진로 선택의 부작용을 없애자는 것이다. 이런 임기응변적인 입학은 1년도 못가 학업과 장래에 흥미와 희망을 잃고 좌절해 버리거나 전과 또는 재입학이라는 불행한 결과를 초래하는 사례가 허다했던 것이다.
입학 학력 고사의 출제는 중앙 교육 평가원이 일률적으로 하되 시험은 각 대학별로 실시하고 과목별로 배점과 가중치를 각 학교의 재량에 맡기도록 한 것은 학과별로 특성에 맞게 요구되는 실력을 평가하는데 재량권을 주자는 취지로 생각된다.
예컨대 수학과 지원자는 수학 성적이 우수해야 하며, 영문학을 전공하려면 영어에 우수한 학생이 입학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으로 보아 타당한 조치다.
또한 시험 문제도 객관식 선다형 일변도에서 주관식과 객관식을 혼용하도록 한 것도 암기만을 위주로 했던 고교 교육을 사고력·창의력의 배양으로까지 유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가지 발전적인 면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이 제도가 더욱 개선돼야할 여지는 남아 있다. 그것은 이 제도가 아직도 대학의 완전 자율이라는 궁극적 목표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대학 신입생 선발권을 대학 자율에 맡길 것을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 대학은 그들이 가르치고 배양할 인재를 대학이 의도하는 목적과 목표에 맞게 출제된 시험에 의해 선발할 권한과 책임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학이 학교별로 특성을 갖고 다양한 인재를 배출하는 것은 다원화하는 시대의 요구에도 맞는 일이기 때문이다.
출제 관리의 공정성을 위해서는 중앙 교육 평가원의 공동 출제가 불가피하다는 이론에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획일화된 시험 문제의 출제가 다양한 개성과 소질을 발굴 해 내는데 적합한 것인가는 의문의 여지가 많다.
이번 정부의 대입 제도 개혁은 입시에 정부 간여를 배제하고 대학 완전 자율 관리를 향한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조치가 될 것을 기대한다.
갑작스런 입시 제도 변경에서 오는 수험생과 입시 지도 교사들의 혼란과 당혹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각 대학이 조속한 시일 안에 과목별 배점과 가중치 등 세부 사항을 결정 발표해야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