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사회갈등 담당 조직 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경찰의 정보활동이 사회 갈등사안의 조정과 정부정책에 대한 여론 탐색 등의 기능으로 고급화되며, 이를 위한 조직 개편도 추진된다.

현재는 사회단체나 기관 및 지역의 단순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데 치중하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28일 "경찰청 정보국에 사회 갈등 조짐을 사전에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경무관급의 심의관(가칭 '사회갈등조정심의관')을 두고 그 아래에 두 개의 과(課)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정보국은 국장(치안감).기획정보심의관(경무관).정보1~4과 체제로 돼 있다. 이 관계자는 "각 지방경찰청 정보과에도 계(係)를 1~2개씩 늘려 정부 정책과 관련된 정보의 수집.분석을 전담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경찰의 기존 정보 활동에 대한 사찰적 이미지를 바꾸기 위해 정보국의 명칭도 여론국 등으로 바꿀 것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정보국은 지난 23일 최기문(崔圻文)청장과 국장급 간부들이 참석한 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든 추진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르면 다음달부터 실시를 목표로 실무 작업에 들어간 상태다.

계획에는 일선 경찰서의 정보과 인원은 줄이고 경찰청과 지방경찰청에 인원을 집중 배치하는 등의 조직 개편안이 들어 있다.

경찰 고위 관계자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도입이나 새만금 사업, 화물연대 운송거부와 부안군 핵 폐기장 건설 문제 등에서 보듯 최근의 사회 갈등이 국가 정책과 연관된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어 기존의 정보수집 활동으로는 상황 파악과 대처에 한계가 있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정보국 개편은 국가정보원은 해외정보에 치중하고 국내정보는 경찰이 맡도록 한다는 새 정부의 의지도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달 16일 전국 경찰지휘관(총경급 이상)과 만난 자리에서 "경찰의 정보 역량이 국가정보원의 보조적인 위치를 벗어나 국가의 중추적인 기능을 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윤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