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 “김정은 핵공격 땐 바로 죽을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미국 정부가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에 대해 “핵 공격을 하면 그는 바로 죽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니얼 러셀(사진)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12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김정은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라.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아마도 그가 핵 공격을 수행할 수 있는 향상된 능력을 갖게 하겠지만 그러면 (그는) 바로 죽는다(and then immediately die)”며 “그건 플랜A(모든 일이 예상대로 될 때 우선적으로 진행하는 계획)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북한 정권에 이례적 강한 경고
북 거래 중국 기업 제재도 시사

이는 김정은 위원장이 핵 공격을 할 능력이 생긴다고 해도 그걸 행사하는 순간 자신(김정은)이 죽을 게 뻔한 만큼 쉽게 핵 공격에 나서지 못할 것이란 지적인 동시에 “섣불리 핵 공격에 나서는 순간 바로 김정은은 죽게 된다”는 북한 정권에 대한 강한 경고로 해석된다.

미국의 동아태 정책 총괄책임자인 러셀 차관보가 김정은이 ‘죽을 것’이란 강한 표현까지 직접적으로 써 가며 북한을 견제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지난 11일 “유엔 안보리에서 새로 만들어질 대북제재 강도가 올 3월 제재 때보다 현저하게 세질 것”(러셀 차관보)이라고 강조한 데 이어 연일 발언 수위를 높여 가는 양상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임기 3개월여를 남겨 둔 버락 오바마 정권에 대해 “북한 문제 대응에 너무 안이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는 것을 의식, 의도적으로 강공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러셀 차관보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북한의 안보와 김정은 정권의 안정을 해칠 뿐 아니라 외교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북한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중국 정부가 (유엔) 결의를 위반한 북한 기업, 북한에 협력한 중국 기업에 조치를 취하는 부분에 대해선 미국이나 다른 주체가 (별도의) 조치를 취할 이유가 없다”며 “하지만 중국 정부가 조치를 취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 미국은 (올 3월 채택된) 유엔 안보리 결의안 2270호나 미국 정부의 자체 법규를 근거로 조치를 취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미 정부가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개인을 제재하는 ‘세컨더리 보이콧(2차 제재)’을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