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당한 방위비 안 내” “한·미 방위조약 존중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주 호프스트라대 강당에서 열린 미국 대선 1차 토론에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후보와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후보는 경제, 인종 갈등, 외교 등 다방면의 주제를 놓고 열띤 논쟁을 벌였다.

“세금 인하” “부 재분배” 경제도 갈려

토론 첫 주제인 경제 분야부터 두 후보의 입장은 확연히 달랐다. 클린턴은 “여러분이 창출한 이윤을 고위 경영자들뿐 아니라 여러분 모두가 나눠 갖도록 하겠다”며 부의 재분배에 중점을 둔 정책을 제시했다. 남녀 균등임금 실현, 유급 육아휴직 확대 등 여성 유권자들을 위한 정책도 거론했다. 일자리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 육성을 통해 창출할 방침을 밝혔다.

반면 트럼프는 “높은 세금과 강도 높은 규제 때문에 기업들이 미국을 떠나고 있다”고 주장하며 규제를 완화하고 세금을 낮춰 미국 내 투자를 유도하겠다는 정반대의 정책을 내놓았다. 트럼프는 이어 “모든 기업의 세금을 35%에서 15%로 대폭 낮추겠다”고 장담했다. 트럼프는 또 외국과의 무역협정도 전면 재검토할 방침을 재차 밝혔다.

최근 경찰의 흑인 총격으로 불거진 인종 갈등에 대해서도 클린턴·트럼프 두 후보의 대응은 엇갈렸다.

클린턴은 “경찰의 신뢰 회복이 먼저다. 흑인에 대한 경찰의 편견을 없애기 위해 경찰을 대상으로 전면 재교육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달리 트럼프는 “법과 질서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경찰력을 강화하고 불심검문을 도입할 것”이라고 했다.


▶관련 기사 미 주류 언론 “클린턴 승리” …트럼프는 SNS 장악



외교와 동맹정책에 대해 트럼프는 “한국·일본 등 동맹국들이 정당한 방위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북핵 문제를 거론하며 “중국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북한의 최대 무역 파트너인 이란도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클린턴은 “일본과 한국에 ‘우린 상호방위조약을 존중할 것’이란 점을 확신시킬 것”이라고 반박했다. 클린턴은 북한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이기준·김준영 기자 foridealis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