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외교장관 "북한 핵도발에 총력 대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윤병세(외교부 장관·왼쪽), 존 케리(미 국무장관·가운데), 기시다 후미오(일본 외무상)

한국과 미국·일본이 북한의 핵 개발 봉쇄를 위한 총력 공조에 합의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존 케리 미 국무장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일본 외무상은 18일(현지시간) 뉴욕에서 회담을 갖고 북한의 예상을 뛰어넘는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응을 해나가자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3국 외교장관의 공동성명 채택은 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6년 만이다.

외교장관들은 특히 대북 제재 수준을 대폭 강화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로운 결의 채택과 함께 북한의 핵ㆍ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된 자금원 차단을 위한 3국의 독자적 조치 추진에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미국과 일본 등이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ㆍ기관에 대한 직접 제재(세컨더리 보이콧)에 나설지가 주목된다.

케리 국무장관은 특히 공동성명에서 미국의 대한ㆍ대일 방어공약에는 ‘모든 범주의 핵 및 재래식 방어역량에 기반한 확장 억제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케리 장관이 확장억제책으로 ‘모든 범주의 핵’을 명시한 것은 북한에 대한 강력한 경고일 뿐 아니라 국내 일각에서 거론되는 핵무장론을 진화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한편 미 상원 외교위 동아태 소위원장인 코드 가드너(콜로라도)의원을 비롯한 공화당 상원의원 19명은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의 구멍 차단,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ㆍ기관에 대한 제재,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한반도 조기 배치 등을 촉구하는 연명서한을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냈다.

오바마 대통령은 19일 뉴욕에서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 만나 북한의 핵 도발 등을 논의했다.

뉴욕·워싱턴=이상렬·김현기 특파원 is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