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교포 귀환 대비|일본·한적과 적극 교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최근 소련 정부가 사할린 거주 한국인 귀환 문제에 유대인 출국 방식을 적용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과 관련, 사할린 교포의 귀환을 주요 외교 당면 과제로 정하고 일본과 국제적십자사 등을 상대로 교섭을 벌이고 있다.
외무부 당국자는 16일 『소련의 이 같은 입장 표명은 지금까지 사할린 교포 출국 문제에 관해 귀환 희망자가 없다는 식으로 냉담한 태도를 보여 온 것에 비추어 볼 때 상당히 주목할 만한 일로 볼 수 있다』고 지적,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소 외상회담에서 이 문제를 논의해 줄 것을 우리 정부가 일본측에 요청했던 만큼 어떤 형태로 결론이 날지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일본 정부가 소련 거주 유대인의 출국 통로가 되고 있는 오스트리아에 외무성 동북아 과장을 파견해 실태 조사를 했다는 사실을 통고 받았다』고 밝히고 유대인 처리 방식이 적용될 가능성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인의 소련 출국은 ▲친척 또는 신원보증인이 소련 정부 앞으로 출국을 요청하면 ▲본인의 신원과 출국 의사를 확인한 후 ▲출국 신청을 받는 절차를 거치는 것으로 출국 허가를 받은 유대인은 그 동안 받아 온 교육비를 소련 정부에 내고 오스트리아나 동구 등 제3국을 통해 이스라엘 대사관으로 인도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