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빽스트리트저널] ③ 연봉 8000만원의 행복, 그리고 테슬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의 인기 드라마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을 보면 수형 생활 중인 여자 주인공이 동료에게 “행복은 연봉 7만5000달러(약 8500만원)에서 멈춘대”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연봉이 4000만원에서 5000만원, 5000만원에서 6000만원으로 높아질 땐 더 행복해지지만 8500만원이 넘으면 이전과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기사 이미지

이 대사(臺詞)는 지난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앵거스 디턴 프린스턴대 교수의 연구결과를 인용한 것입니다. 디턴 교수는 2010년 프린스턴대 동료인 대니얼 카너먼 교수(200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와 함께 돈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대한 소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기사 이미지

2008~2009년 미국 전역의 46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갤럽 설문조사를 토대로 통계를 돌려봤더니 ‘소득이 높아질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는 계속 높아졌지만 행복감은 연봉 7만5000달러에서 멈추더라’는 것입니다.

이 연구결과를 ‘연봉 8500만원이 넘으면 이전보다 더 행복하지 않더라’라고 단순화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디턴 교수가 통계 작업의 근간으로 삼은 갤럽 조사는 ‘삶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감’을 나눠서 물어봤습니다.

만족도는 ‘지금 당신의 삶에 전반적으로 만족하나요’라고 묻고 ‘최악의 상태(0)’부터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상태(10)’ 사이에 선택하도록 했습니다. 반면 행복감은 ‘어제 하루 대부분의 시간 동안 다음과 같은 감정을 느꼈나요’를 묻고 ‘스트레스’‘행복’‘즐거움’‘근심’ 등을 선택지로 제시했습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만족도’가 더 정확한 행복의 척도일 수도 있는 것입니다.

기사 이미지

아무튼 이 연구결과는 큰 반향을 가져왔습니다. 미국의 신용카드 처리업체 그래비티 페이먼트의 댄 프라이스 CEO는 지난해 직원 120명 중 연봉이 7만 달러 이하였던 30명의 연봉을 단숨에 7만 달러로 올렸습니다. (왜 7만5000달러가 아닌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디턴 교수의 연구결과를 곧이 곧대로 받아들인 겁니다.

기사 이미지

프라이스 CEO는 110만 달러(약 12억5000만원)였던 자신의 연봉도 7만 달러로 삭감해 화제가 됐습니다. 일각에선 그가 다른 생각이 있어서 직원들의 연봉을 올렸다고 주장하기도 했는데요. 회사 지분 30%를 갖고 있는 그의 친형이 “댄이 수년 간 터무니 없이 높은 연봉을 챙겼다”며 소송을 낸 겁니다.

프라이스 CEO는 이달 초 이 소송에서 승소했습니다. 소송 결과나 그의 진정한 동기(動機)가 무엇인지와는 상관없이 프라이스 CEO의 결정에 탄복한 그래비티 페이먼트의 직원들은 십시일반 돈을 모아 그에게 전기자동차 테슬라 한 대를 선물했습니다.

직원들이 ‘증정식’을 열자 프라이스 CEO는 감동해 눈물을 쏟고 말았습니다.

디턴 교수는 논문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만족도와 행복감 중 어느 것이 더 정책 기반으로 타당할지는 논의해봐야 한다. 하지만 이미 많이 행복한 사람들의 행복을 증대시키는 데 집중하는 것은 좋은 정책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박성우 기자 blast@joongang.co.kr
그래픽=김하온


빽스트리트 저널 더보기▶

[빽스트리트저널 ①]할인 항공권 그대로 잡아두는 법 
[빽스트리트저널 ②]당신의 행복을 측정해 드립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