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사드 배치 부지 경북 성주로 확정…국방부 차관 현지로 이동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경북 성주군의 공군 성산포대로 올라가는 길에 군사시설 출입금지 안내판이 걸려 있다. 성산 정상에서 3㎞ 안에 1379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프리랜서 공정식

정부가 13일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를 비치할 부지를 경북 성주로 확정하고, 오후 3시에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 당국자는 "오늘(13일) 오후 3시쯤 공식발표를 하기로 확정했다"며 "오늘 아침에 나온 언론 보도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국내 언론들은 경북 성주를 유력후보지로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황인무 국방부 차관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예정됐던 '전반기 병영문화혁신추진평가회의' 등 공식일정을 취소하고 성주 현지로 이동중이다. 국방부 당국자는 "주한 미군의 사드 배치 지역 발표 이전에 황인무 국방부 차관을 단장으로 국무조정실과 행정자치부, 합동참모본부 등 당국자들과 사드 관련 전문가가 해당 지자체를 방문해 사전 설명회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국방부의 전격적인 발표와 사전 의견 수렴과정 등 프로세스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방부는 지난 8일 사드 배치 결정을 발표하면서 부지 배치 발표 이전에 충분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사드를 배치할 장소로는 경북 성주의 성산리에 있는 공군 방공포 부대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다만, 정부는 공식발표에서 경북 성주군까지만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는게 군사 보안상 문제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문제는 지난 2014년 6월 커티스 스캐퍼로티 당시 한미연합군 사령관이 "본국에 사드 배치를 건의했다"고 공개한 뒤 논란이 일었다. 이후 지난 2월 7일 북한이 장거리 로켓(미사일)을 발사한 당일 한미는 "사드 배치를 공식 논의키로 했다"고 공식발표하고, 3월 4일 한미 공동실무단 운영 약정(TOR)을 체결한뒤 부지선정과 사드레이더의 잔자파 유해성 등 법과 환경 문제 등을 논의해 왔다.


▶ 관련기사
① 남경필 “북핵 끝나면 사드 없앤다, 중·러 설득해야”
② 사드 전자파가 불임 유발?…“100m 떨어지면 인체 무해”



정부는 주민들의 반발등을 우려해 극도의 보안을 유지해오다 지난 8일 사드를 한국에 배치키로 했다고 공식 발표를 했다.

사드의 1개 포대는 고출력 레이더(AN/TPY-2)와 사격통제장치, 발사대 6대, 발사대당 요격미사일(인터셉터) 8기(총 48기) 등으로 구성됐으며, 포대당 1조~1조 5000억원 가량이다. 국방부 당국자는 "사드를 구매하고 운영하는 비용은 미국이 부담할 것이며 한국은 부지와 기반시설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