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ESS 시장 공략 잰걸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기사 이미지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최대진 신임 미국 원에너지시스템즈 대표(오른쪽)가 데이비드 카플란 전 대표와 ‘인수 서명식’을 가졌다. [사진 두산중공업]

두산중공업이 에너지저장장치(ESS) 소프트웨어 원천기술을 보유한 미국 ‘원에너지시스템즈’를 인수했다고 12일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테슬라 출신의 엔지니어들이 2011년 설립한 회사로 ESS와 관련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다. 자체 개발한 ESS 관련 소프트웨어를 북미 시장에 공급하며 안정적 수익을 올리고 있다.

SW 원천기술 보유 미국 업체 인수
북미·유럽·동남아 시장까지 겨냥

ESS는 전력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비축했다가 사용량이 많을 때 공급하는 기술을 말한다. 국내외에서 시장 규모가 빠르게 크고 있는 분야다. 국내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2020년까지 ESS 분야에 4조5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5일 밝힌 바 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9월 ‘스마트그리드 보급 지원사업’의 주관 사업자로 선정되며 ESS 소규모 전력망 시장에 진출했다. 단일 건물로 국내 최대 용량(2.4MWh)인 ESS를 한국전력거래소 본사 사옥(전남 나주시 소재)에 공급하는 계약을 지난해 말 체결했다. 이번 원에너지시스템즈 인수로 글로벌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두산중공업 정지택 부회장은 “이번 인수로 2025년 12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ESS 시장 공략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며 “국내와 북미 시장을 집중 공략하며 중장기적으로 동남아와 유럽 지역까지 외연을 넓히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두산중공업은 이번에 인수한 회사의 사명을 ‘두산그리드텍’으로 변경했다.

박성민 기자 sampark27@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