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억원과 35억원-외면당한 국민체육진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체육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들이 국회질의과정에서 제기된 것은 천만 다행한 일이다.
올림픽을 유치한우 온통 그 준비에만 정신을 쓰게된 나머지 체육부가 과연 제대로 일을 하는가를 알길이 없는 국민들에게 체육정책의 근본이 무엇이고 그것이 잘 되어가는가를 밝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적자올림픽을 걱정하는 국민들에겐 방송료 협상타결내용이 그렇게 만족스럽지도 않고 또 빈번한 국제경기 개최·참가로 쓴 비용이 5년동안에 무려 1백35억왼이라는 소식에 입맛이 썼다.
국회가 체육부에 대해 본래의 목적인 국민체육진흥을 외면하고 오로지 올림픽준비와 국제대회 메달획득을 위한 선수강화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따진 것은 타당성이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올림픽은 지나가는 하나의 국제행사일 뿐이다.
우리가 국제행사를 책임맡은 이상 적절하게 대응하고 준비해서 그행사에 유루가 없어야한다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요구다.
하지만 그 국제행사때문에 이나라의 주인인 국민들의 체력관리가 소외되어야할 이유도 없다.
국민들이 낸 세금은 국민들의 복지와 이익을 위해 사용되어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림픽을 대비한 선수강화훈련이다, 국제행사다해서 필요이상으로 많은 돈을 쓰면서 정작 국민체육진흥의 지원에는 인색한 결과가 되었다.
실제 올해 체육부는 스포츠 「꿈나무」지윈에 5억원을 쓰면서 국민체육진홍예산에는6억4천만원밖에 쓰지않았다.
내년 체육부 예산 3백85억윈중에 일반사회체육육성비는 0.002%인 7천4백만원에 불과하다.
이같은 예산설정은 체육부가 국민체육에 대한 기본적 인식이 잘못돼 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체육부는 결코 특수한 선수양성등 「엘리트 스포츠」를 위한 기구일수 없으며 민주사회의 시민스포츠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
시민스포츠는 국민들이 자유롭게 즐기며 건강을 다질수 있게하는 생활스포츠다.
그 시민스프츠를 위해서는 엄청난 규모의 시설이나 유난스런 제도적 규제가 따로 필요없다. 국민이 자율적으로 스포츠를 즐기며 생활화할수 있는 작은 공간과 시설을 보급하면 족한 것이다.
도시의 조깅코스를 확보해주고 지역별코치를 채용하는 일등을 생각할수 있다.
어린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운동장이나 놀이터가 없고 일반교육에서 체육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며 직장인들의 운동부족을 해소할 방안을 찾기못하면서 몇몇 선수들을위한 요란한 시설과 요란한 행사에 예산을 퍼넣을수는 없다.
조깅, 에어로빅등 생활운동이 보편화되있는 미국조차 정부가 수백만달러를 써가며 「윤택한 건강생활」이란 광고로 시민체육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그에 비하면 우리체육부의 정책방향은 너무 허술한 인상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