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지는 장사는 안해"…트럼프 '대선 돈벌이'

미주중앙

입력

공화당의 사실상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가 선거자금을 지출하면서 그 중 20%의 비용을 자신과 가족이 경영하는 업체를 이용한 값으로 지불해 트럼프가 대선에 출마해 돈벌이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2일 트럼프 캠프가 연방선거관리위원회(FEC)에 제출한 5월 선거자금 지출 명세서를 분석한 결과를 보도하면서 트럼프 캠프가 5월 한 달 총 600만 달러를 지출했는데 그 중 5분의 1에 해당하는 최소 110만 달러가 트럼프 및 그의 가족이 경영하는 사업체에 이벤트 경비, 여행경비 등의 명목으로 지불됐다고 보도했다.

우선, 트럼프 캠프는 트럼프의 개인 저택이자 골프장이 있는 플로리다주 '마라라고 저택' 사용료로 42만3000 달러를 지불했으며 트럼프의 개인 비행기를 운영하는 회사인 'TAG에어'에 35만 달러를 지출했다. 트럼프의 선거사무소가 입주해 있는 뉴욕 맨해튼 '트럼프 타워'에도 17만 달러를 지불했다.

트럼프 레스토랑에 12만5000 달러, 트럼프 차남 에릭이 운영하는 와인 사업체에 1300달러 등 대부분 자신이나 가족이 경영하는 업체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비용을 지불했다.

뉴욕타임스는 공과 사가 뒤섞인 트럼프의 지출 방식을 문제 삼으면서 지난해에도 그의 선거자금 중 총 270만 달러가 최소 7개의 트럼프 및 가족 소유 기업에 지불됐다고 보도했다.

대선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자기 돈으로 캠페인을 치르겠다고 공언한 트럼프는 캠프에 직접 돈을 집어넣는 대신 자신에게서 돈을 융자받는 식으로 선거 자금을 충당했다. 돈을 직접 넣으면 되돌려 받을 수 없지만 셀프 융자를 하면 후원금을 받아 돌려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의 자금 지출이 선거법상 불법은 아니지만 역대 대선주자들 누구도 선거운동에 필요한 물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때 자신의 이해관계와 무관한 사업체를 선택했기 때문에 공화당 폴 라이언 하원의장이 표현한 것처럼 트럼프는 '아주 독특한 후보'이며 손해 보는 장사를 하지 않는 기업가라고 할 수 있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