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북 핵동결·NPT 복귀 전제로···중국, 미국에 평화협정 타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미국과 중국이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를 위한 물밑 접촉을 진행 중이라고 외교안보부처 고위 당국자가 8일 전했다. NPT(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는 미국·중국·러시아·프랑스·영국을 제외한 나라의 새로운 핵무기 보유와 다른 나라에 핵무기 및 제조 기술이전을 금지하는 조약이다.

외교안보 고위 당국자 밝혀
“중국이 북한과 논의 후 제안”

이 당국자는 “최근 중국이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의) 핵 동결과 NPT 복귀를 조건으로 북·미 평화협정 체결에 관한 미국의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안다”며 “지난 2월 말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만났을 때 언급한 평화협정 문제를 더욱 구체화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는 ‘핵 폐기의 첫걸음이 핵 동결’부터라는 중국의 입장을 보여준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대북 소식통은 “선(先) 핵 폐기를 요구하고 있는 미국이 중국 제안을 수용하진 않았다”며 “하지만 중국은 북한의 핵 동결과 NPT 복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수용을 전제로 한 6자회담 내에서의 평화협정 논의 등을 다양한 경로로 미국에 제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제안은 북한과 중국 간 논의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보 당국에 따르면 북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당 제1비서)이 6, 7일 진행한 당대회에서 한 핵확산 방지 관련 언급도 이런 맥락이란 분석이 나온다. 김정은은 “자위적인 핵 무력을 질량적으로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면서도 “국제사회 앞에 지닌 핵 전파(핵확산) 방지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세계의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핵무기 보유를 기정사실화하면서 핵 군축 회담이나 핵 문제 협상에 대비해 몸값을 올린 뒤 대화 공세를 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연세대 최종건(정치외교학) 교수는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한 것 자체가 NPT 규정을 위반한 것인데 다른 나라들이 아무 일 없었던 듯 북한의 NPT 복귀를 허용할지 의문”이라며 “설령 협의가 진행되더라도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