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유승민 복당 신청은 했지만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기사 이미지

이해찬

4·13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이해찬(세종)·유승민(대구 동을) 의원이 각각 더불어민주당과 새누리당에 19일 복당을 신청했다.

더민주 김종인 “당 절차 따르면 돼”
새누리 친박 일부선 유 입당 반대

공천 배제에 반발해 탈당했던 이 의원은 이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복당 원서와 함께 세종시 의원 등 징계를 받은 당원들에 대한 철회 요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당이 공천한 문흥수 후보 대신 이 의원에 대한 지지활동을 한 세종시 시의원 2명 등에게 당원자격정지 2년의 징계를 내리고 제명 절차를 밟고 있다.

김 대표는 이 의원의 복당에 대해 기자들과 만나 “당의 절차에 따르면 된다”고만 말했다. 당헌·당규상 탈당 후 1년 내에 복당할 수 없으나 당원자격심사위 심사를 거쳐 당무위 의결로는 가능하다. 비대위 관계자는 “현재 당원자격심사위가 구성돼 있지 않은데 김 대표는 서두를 생각이 없다”며 “이 의원의 복당 결정이 시급한 것도 아니지 않으냐”고 말했다. 하지만 한 중진 의원은 “한 석이 아쉬운데 결국 복당시키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기사 이미지

유승민

유 의원은 새누리당 대구시당을 찾아 복당 신청서를 냈다. 동반 탈당한 시·구의원, 지지자 의 복당도 신청했다. 유 의원의 측근 인 조해진 의원도 경남도당에 복당 서류를 냈다.

유 의원은 기자들에게 “총선 다음 날 복당을 신청하려다 참패한 당에 부담이 될 것 같아 오늘 했다. 복당하면 무너진 당의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말했다.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 대해선 “생각해본 적 없다”고 말했다. 복당 전망에 대해 유 의원은 “민심의 분노가 임계치를 넘어섰다. 당이 변화를 해야 할 시점이고, 민심을 정확히 알아내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부 친박계 인사들은 여전히 유 의원의 입당에 반대하고 있다. 당헌·당규에 따라 탈당 후 재입당은 최고위(비대위)가 의결한다.

김성탁·이가영 기자 sunt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