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ISA 가입 못하고 기념사진만 찍은 이유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투자증권 본사 1층 창구에서 새누리당 강석훈 의원(가운데)이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1호 고객으로 가입하고 있다. 하지만 이날 행사에 참석한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오른쪽)과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대표는 ISA에 가입하지 않았다. [사진 금융투자협회]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상품 판매가 시작된 지난 14일. 여의도 한국투자증권 본사 1층 창구에서 ISA 1호 가입 행사가 열렸다. 주인공은 강석훈 새누리당 의원이었다. 강 의원은 ‘중위험’으로 투자성향을 진단받은 뒤 1000만원으로 중립·멀티형 상품이 담긴 ISA에 가입했다.

하지만 이날 행사에 강 의원과 함께 한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과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대표는 사진만 찍고 ISA 계좌를 만들지 않았다. 황 회장은 다음날 여의도 신한금융투자 본점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일임형 ISA에 가입하는 행사에서도 ISA계좌를 만들지 않았다. 지난달 29일 비과세 해외펀드가 출시될 때 1호 가입자로 나섰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황 회장은 ISA에 가입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못한 것’이다. ISA는 지난해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넘는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이면 가입할 수 없게 돼 있다.

업계에선 황 회장과 유상호 대표가 주식이나 펀드, 배당 등으로 얻은 금융투자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넘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ISA 고객 유치 경쟁에 나선 주요 증권사들의 최고경영자(CEO)들 중에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돼 ISA 가입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사 CEO 중에는 ISA에 가입한 사람은 14일 자사 일임형 ISA상품에 가입한 권용원 키움증권 대표가 있다. 김원규 NH투자증권 대표와 나재철 대신증권 대표도 이달 안에 ISA 계좌를 열 예정이다.

ISA는 소득을 입증할 수 있는 근로 소득자, 사업 소득자(자영업자), 농어민이 가입할 수 있다. 미성년자라도 근로 소득이 있는 15세 이상이면 ‘청년’으로 인정돼 가입할 수 있다. 하지만 직전연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할 수 없다.

ISA를 먼저 시작한 영국과 일본에선 소득에 따라 가입대상을 제한하지 않고 일정 연령 이상이면 누구나 계좌를 만들 수 있다. 한국 역시 애초엔 전 국민이 가입할 수 있는 모델로 제도가 설계됐다. 하지만 이후 법령이 개정되며 가입대상이 제한됐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는 “ISA는 연소득 5000만~1억원 수준의 중산층이 가장 큰 혜택을 누리도록 설계됐다”며 “부자감세 논란을 피하고자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를 배제했다”고 설명했다.

표영선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한국 ISA는 가입대상이 제한돼 또 다른 금융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며 “투자문화 활성화로 국민 재산을 불리자는 ISA 도입의 당초 취지를 살리기 위해 제한 요건을 완화·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안창남 강남대 세무학과 교수는 ”ISA 가입 대상자나 가입 금액을 확대하면 세금혜택은 고소득자에 더 유리하다“며 ”이렇게 되면 계층 간 과세 공평성을 저해하고 저소득자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