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이후 총선서 의석 60% 휩쓴 당 없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새누리당의 목표 의석 비율인 60%(180석) 이상을 차지한 정당은 10대 총선(1978년)에서 승리한 민주공화당이 마지막이었다.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공화당은 62.8%(145석)를 얻었다. 지역구 68석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된 의원(유신정우회 소속) 77명을 합한 수치다.

10대 국회 공화당 62.8%가 마지막
19대까지 여당 50% 안팎 그쳐

유신정우회는 공화당에 입당하진 않았지만 사실상 여당 역할을 했다. 유신헌법을 근거로 설립된 통일주체국민회의는 대통령이 의장을 맡았으며, 국회의원 3분의 1을 뽑았다. 통일주체국민회의가 80년 해체된 후에는 60%를 넘기는 정당은 나오지 않았다.

 전두환 정권(제5공화국) 때 치른 11대 총선(81년)에선 여당인 민주정의당이 총 의석의 54.7%인 151석을 얻었다. 이 선거는 지역구에서 1·2위 득표자가 모두 당선되는 중선거구제로 치러졌다. 당시 민정당은 92개 지역구에서 90석을, 전국구(현 비례대표)에선 61석을 얻었다. 둘을 더해도 의석 60%엔 미달됐다.

같은 5공 때 실시한 12대(85년) 총선에서 민정당은 이전보다 3석이 줄어든 148석(53.6%)을 차지했다. 당시 야당 정치인 탄압 논란을 빚은 ‘정치풍토쇄신법’ 등이 있었지만 집권당은 이때도 의석의 60%를 얻지 못했다.

 안철현 경성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 마음속에 견제 심리가 발동하기 때문에 60% 의석을 차지하는 것은 말처럼 쉬운 게 아니다”며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180석 발언’도 선거를 앞두고 지지 세력을 결집하기 위한 것일 뿐 본인도 그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87년 민주화 이후 치러진 총선에선 집권당의 의석수는 더욱 줄었다. 13대(88년) 총선에서도 민정당은 다수당이 됐지만, 그 비율은 41.8%(125석)에 그쳤다.

이후 여당은 50%를 넘기는 것도 쉽지 않았다. 14대(92년) 때 민주자유당으로 이름을 바꾼 여당은 149석(49.8%)을, 김영삼(YS) 정부 시절 집권당인 신한국당은 15대(96년)에서 139석(46.5%)을 얻었다.

김대중(DJ) 정부 때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은 다수당 지위마저 잃었다. 민주당이 115석(42.1%)을 얻은 데 비해 한나라당은 133석(48.7%)을 따냈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을 계기로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에 대한 비난 열풍이 불었을 때인 17대 총선(2004년)에서도 열린우리당은 152석(50.8%)을 얻어 겨우 과반수를 얻었다. 18대(2008년)와 19대(2012년) 총선에서도 여당은 과반을 기록했지만 60%와는 거리가 있었다.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거대 여당 독주에 대한 견제 심리가 이번에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현재 야당의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진행 방해)에 대한 대중의 평가에 따라 새누리당이 4·13 총선에서 가져갈 수 있는 의석수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선욱 기자 isotop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