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 그리는 기업] 차 부품·에너지 사업, 신성장동력 집중 육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기사 이미지

LG가 미래 준비를 위한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에너지대전 현장. LG 관계자가 울릉도에 적용할 LG 스마트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LG]

LG의 미래준비를 위한 행보가 발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 눈에 띄는 분야는 B2B(기업 간 거래) 분야다.

 LG는 ▶전자 부품 및 화학 소재의 차별화된 기술 역량과 이를 바탕으로 한 계열사간 시너지 ▶수율 극대화를 통한 품질-가격-물량의 최적화된 생산 체제 ▶고객사의 다양한 요구에 빠르게 솔루션을 제안·실행해 쌓은 신뢰성 등을 기반으로 남보다 앞선 B2B 사업 역량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 애널리스트는 “LG가 전자와 화학 기술 역량으로 시너지를 발휘한다면 큰 성장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구본무 LG 회장은 “자동차 부품, 신에너지 분야에서 성장의 가능성을 봤다”고 신년사에서 언급했다. 그는 “이제는 자원을 집중해 과감히 치고 나가 남보다 먼저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면서 미래 성장을 위한 신성장사업 분야의 성과 창출을 독려했다.

 이에 LG는 각 계열사의 역량을 바탕으로 대표적 B2B 사업인 자동차 부품과 에너지 사업을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사업의 경우 현재 LG전자가 자동차용 부품을, LG디스플레이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LG화학은 전기차 배터리, LG이노텍이 차량용 센서, 카메라 모듈 및 LED, LG하우시스가 자동차용 원단, 경량화 소재 등을 생산해 협력하는 구조다. 업계에 따르면 LG의 자동차 부품 사업 매출이 지난해는 4조원을 넘어선 데 이어 올해 5조원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G 관계자는 “ 스마트카 개발에 글로벌 자동차 업계들의 투자와 혁신이 계속 이어지는 만큼 LG의 자동차 부품 사업 또한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LG는 주력사업의 시장선도를 가속화하고 신성장 사업을 집중 육성하는 사업구조 고도화를 통해 위기극복 및 지속성장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LG는 과감하고 선제적인 투자를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올해도 R&D 투자를 줄이지 않을 예정이다.  

배은나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