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치하면 사망할 수도" 삼킴장애 훈련방법, 조기 치료 필요해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삼킴장애 훈련방법

삼킴장애 훈련방법

음식물 섭취를 어렵게 만드는 삼킴장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삼킴장애는 '연하곤란'이라고도 일컫는데, 음식물이 구강에서 식도로 넘어가는 과정에 문제가 생겨 음식을 섭취하기 어려운 증상을 의미한다. 주로 식도가 막히거나, 삼키는 동작에 필요한 신경이나 근육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며 음식물을 삼킬 때 통증을 유발한다. 이 경우 폐렴이나 질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위험하다.

연하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치매, 파킨슨병 등의 노인성 질환을 들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뇌졸중이다. 뇌졸중은 연하 중추를 침범하면서 심한 연하곤란을 일으키는데, 이때 치료를 하지 않아 흡인성 폐렴이나 영양실조, 탈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면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은 초기에 발견해 대처한다면 비교적 빠른 회복을 보이기 때문에 조기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치료를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 섭취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데, 기구를 이용하는 간접적 영양 방법과 입으로 직접 섭취를 돕는 직접적 방법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간접적 영양 방법에는 코에 관을 넣어 위장관으로 영양공급을 하는 비위관 영양공급법, 복벽에 구멍을 뚫어 위에 직접 관을 삽입하는 위루관 영양공급법, 튜브를 식도 중간까지 넣어 영양을 공급하는 구강식도관 등이 있다.

직접적 방법을 선택할 경우, 자세에 주의를 기울이며 훈련해야 하는데 삼킨 음식물이 식도가 아닌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머리를 앞 쪽으로 약간 숙이고 턱을 당긴 채 90°로 바르게 앉는 올바른 식습관 자세를 익혀야 한다.

삼킴장애 훈련방법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