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수일내 채택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과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진행중인 대북제재 결의안에 있어 중대한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조만간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해석된다.

기사 이미지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오른쪽)이 12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안보회의에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악수하고 있다. [AP]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23일(현지시간) 워싱턴 D.C. 국무부 청사에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회동한 뒤 기자회견을 열고 “대북 제재 결의안과 관련해 중대한 진전이 있었다”며 “가까운 시일 안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안이 채택될 것”이라고 말했다.

왕이 외교부장은 그러면서도 ”비핵화와 관련한 대화와 평화협정 논의를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도 “미ㆍ중 양국은 유엔을 통한 적절한 합의가 필요하다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케리 장관은 “신속히 대응하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체계 배치에 대한 논의는 미국이 한 발 물러선 모양새다. 존 케리 국무장관은 “사드를 배치하는 유일한 이유는 북한의 위협”이라며 “북한 비핵화만 이뤄지면 사드를 배치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앞서 주한미군은 23일 당초 예정됐던 사드 체계 배치를 위한 실무협의 약정(TOR) 서명을 연기했다. 약정 체결 발표를 30여분 남겨 둔 시점이었다. 주한미군은 이를 두고 “주한미군사령부와 미 정부 간 진행 중인 대화(ongoing dialogue)가 끝나지 않았다. 이르면 내일(24일) 체결이 가능하고 더 늦어질 수도 있다”는 설명을 했다고 국방부 당국자가 전했다.

미국은 북한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강조해 온 반면, 중국은 제재에 원칙적으로 동의하면서도 제재와는 별도로 북한과의 대화와 협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관련기사 한·미, 사드 약정 30분 전 돌연 연기…미국과 대북제재 담판 앞둔 중국 의식

채윤경 기자 pch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