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상권 땅값 상승률 이태원 > 홍대 > 강남역 > 가로수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전국 땅값이 8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지난해 전국에서 혁신도시 조성, 도로·전철 신설 등으로 개발 사업이 활발했던 영향이다.

기사 이미지

국토교통부가 22일 공시한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1월 1일 기준)에 따르면 전국 땅값은 1년 새 4.47% 올랐다. 2008년(9.63%) 이후 상승폭이 가장 크다. 땅값이 떨어진 곳은 없었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전국 3198만 필지를 대표하는 50만 필지를 뽑아 매긴 가격이다. 이에 따라 개별공시지가가 결정되고, 이는 과세와 토지보상의 기준이 된다.

기사 이미지

 17개 시·도 중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제주도다. 1년 새 19.35%나 올랐다. 지난해 가장 많이 올랐던(15.5%) 세종은 올해 12.9%로 제주도의 뒤를 이었다. 정부·공공기관 이전으로 기반시설이 갖춰지고 있어 매년 땅값이 오르고 있다. 울산(10.74%)은 지난해 울산대교 준공 이후 방문객이 늘고 우정혁신도시 개발에 탄력이 붙었다.

기사 이미지

 땅값 상승폭이 가장 작은 곳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0.47%)다. 충남 계룡시(1.03%),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1.1%), 경기도 양주시(1.17%),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1.21%)도 소폭 오르는데 그쳤다. 대개 도심이 노후화하고 주요 개발 사업이 지연되면서 땅값 변동이 없었다.

기사 이미지

 서울(4.09%)은 잠실관광특구 지정·롯데월드타워를 등에 업고 땅값이 올랐지만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경기도(3.39%)는 제2외곽순환도로·동탄2신도시 개발 등 호재가 있었지만 고양시 등 서북권 개발사업 지연으로 상승폭이 크지 않았다. 인천도 3.34% 오르는데 그쳤다. 독도 땅값이 17.95% 올라 눈길을 끌었다. 국토 보존을 위한 투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전국 땅값 8년 만에 최대폭 상승
제주 19%, 세종 13%, 울산 11%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13년째 1위
가장 싼 땅 김천 자연림 ㎡당 160원

 서울 주요 상권 중에선 이태원이 7.55% 올라 상승폭이 컸다. 홍대(5.81%), 강남역(5.08%), 가로수길(4.74%)의 땅값 상승률도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기사 이미지

 평균 땅값은 서울이 ㎡당 401만1782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인천(51만6091만원), 부산(38만2785만원), 경기도(29만3769만원), 대전(20만8408만원)이 뒤를 이었다. 땅값 상승폭이 가장 큰 제주도는 평균 6만1196원이다. 전국 평균 가격은 13만7348원이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은 올해도 서울 중구 명동8길 네이처리퍼블릭(화장품 판매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이후 13년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당 8310만원으로, 전년보다 240만원 올랐다.

전국 땅값 상위 10곳이 모두 명동에 있다. 대부분 은행이나 의류·화장품판매점 자리다. 가장 싼 땅은 경북 김천시 대항면 대성리 일대 숲(자연림)이다. ㎡당 160원으로, 전년보다 15원 상승했다.

 전국 땅값이 일제히 오르면서 땅 주인이 내야 할 세금도 늘어난다. 재산세(토지분)는 공시지가의 70%가 과세 대상이다. 건축물 부속토지(별도 합산 과세 대상)의 경우 과세표준이 2억원 이하면 0.2%, 2억~10억원이면 0.3%, 10억원 초과는 0.4%의 세율이 적용된다.

 예컨대 지난해 2억원인 땅이 올해 2억5000만원으로 높아졌다면 재산세는 40만원에서 61만5000원으로 늘어난다. 적용되는 세율이 0.2%에서 0.3%로 높아지기 때문이다. 김종석 태경회계법인 세무사는 “용도별로 적용되는 세율이 다르고 가격 구간에 따라서도 달라지기 때문에 5월 개별공시지가가 나와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표준지 공시지가 관련 이의 신청은 다음달 24일까지 해당 시군구 민원실이나 국토부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지난해 땅 주인이 낸 이의 신청 중 62.4%가 실제로 표준지 공시지가에 반영됐다. 값을 내려달라는 의견의 67%, 올려달라는 의견의 54%가 적용됐다. 조정된 가격은 4월 중순께 재공시된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