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 2013년 철수 때도 “군대가 다시 주둔할 수 있다” 위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기사 이미지

개성공단 철수를 총괄한 김남식 개성공단관리위원장이 11일 밤 경기도 통일대교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일방적인 추방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사진 강정현 기자]

기사 이미지

북한이 11일 개성공단 일대를 군사통제구역으로 선포했다. 남한의 개성공단 운영 중단에 대한 초강력 대응이다.

조평통 “군사통제구역” 맞대응

이날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남북) 통행을 위해 열어뒀던 군사분계선을 전면 봉쇄하고, 육로를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은 2003년 6월 개성공단이 건설되면서 이 지역에 주둔하던 군부대를 이전했다.

정부 당국자는 “ 군사통제구역 선포는 더 이상 남측 인력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남북 관계가 꼬일 때마다 “최전연(전방) 지역의 군대를 뒤로 물리고, 그 지역을 남측에 내줬다”며 “이는 장군님(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통 큰 결단”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 지역에 군대가 다시 주둔할 수 있다”고도 했다.

실제 공단 운영이 잠정 중단됐을 때 정상화를 위한 실무접촉(2013년 7월)에서 박철수 북측 수석대표는 “공업지구 군사분계선 지역을 군대가 다시 차지하게 될 것이며, 서해육로도 영영 막히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위협이 현실이 된 셈이다.

 군 당국은 개성공단이 들어서기 전 이 지역에 북한군 6사단과 64사단, 62포병 여단 등이 주둔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부대들이 다시 투입될지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군 당국자는 “현재까지 북한군의 특이한 동향은 없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전방 지역 부대들에 대북 감시 태세의 강화를 지시했다. 특히 개성공단 인근의 1사단 지역 등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 중이다.

앞서 정부는 이날 오전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어 공단 중단에 따른 북한의 움직임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글=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사진=강정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