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섭, 청와대 거친 대북통…최윤수, 우병우 수석과 동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기사 이미지

김진섭(左), 최윤수(右)

박근혜 대통령이 5일 국가정보원 1차장과 2차장을 한꺼번에 교체했다. 박 대통령은 국정원 1차장에 김진섭(58)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보융합비서관을, 2차장에는 최윤수(49) 부산고검 차장검사를 각각 임명했다. 1차장은 북한·해외 파트를, 2차장은 대공·국내 파트를 담당한다.

“최근 국정원 대북 정보수집 미흡
정보역량 강화 위한 쇄신 인사”
최 차장, 황수경 전 아나운서 남편

국정원에는 원장 바로 아래 1~3차장과 기조실장 등 4명의 차관급이 있다. 그중 절반을 바꾸는 인사를 한 것이다. 청와대 기류를 종합하면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앞으로 추가 인사도 있을 것이라고 한다. 국정원의 1차장과 2차장을 동시에 교체한 건 현 정부 출범 뒤 처음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보기관의 분위기를 바꾸기 위한 쇄신 인사”라고 말했다. 1차장과 3차장은 현 정부 출범 직후인 2013년 4월 임명됐다.

특히 북한의 4차 핵실험에 이어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통보 등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긴박한 상황에서 국가 최고 정보기관의 실무 사령탑들을 교체한 건 이례적이다.

청와대 측은 “대북·대테러 정보 역량 강화 차원에서 이뤄진 교체 인사”라고 설명했다. ‘역량 강화’라는 대목에 대해 새누리당의 한 고위 당직자는 “현재의 국정원은 대북 정보 수집 능력이 미흡하다”며 “북핵 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 통보 등의 국면에서 그런 평가가 쏟아졌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도 국정원의 이런 상황에 대해 문제의식을 크게 가졌다고 한다.

김성우 홍보수석은 브리핑에서 “김 차장은 북한의 위협이 거세지고 있는 엄중한 시기에 국가 안보에 대한 풍부한 식견을 바탕으로 1차장 업무를 충실히 수행할 적임자”라고 했으며, “최 차장은 수사 전반에 전문성을 갖고 있다”고 발표했다.

김 신임 1차장은 국정원 내에서 대북정보 전문가로 통한다. 대북정보 분야를 두루 거쳤다.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보융합비서관을 지내며 현 정부의 국가 안보 전략과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공유한 점도 작용했다. 경북고와 경북대 행정학과를 나왔다.

최 신임 2차장은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과 서울대 법대 84학번 동기다. 우 수석이 사법연수원 19기로 최 차장의 3기수 선배지만 사석에서는 말을 편하게 할 정도로 가까운 사이다. 지난해 12월 검찰 인사에서 연수원 22기 7명이 검사장으로 승진했는데 최 차장도 포함됐다. 부산 내성고를 졸업했으며, 부인은 황수경 전 KBS 아나운서다.

신용호·서복현 기자 novae@joongang.co.kr

김진섭(58·왼쪽 사진) 국정원 1차장 ▶경북 안동 ▶경북고 ▶경북대 행정학과 ▶국정원 북한정보단장 ▶국정원 북한정보국장

최윤수(49) 국정원 2차장 ▶부산 ▶내성고 ▶서울대 법대 ▶사법연수원 22기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서울중앙지검 제3차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