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추적] 의원들에 물어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17대 국회의원에 대한 본지 여론조사에선 상당수 의원(69.6%)이 정치자금 모금한도(1억5000만원)를 올릴 필요가 없다고 했다. 개인이 의원에게 줄 수 있는 돈의 한도(500만원)에 대해서도 84.8%는 "올리지 말자"는 의견이다. 자금 부족을 하소연하는 의원들이 수두룩한 상황에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한도를 못 채운 의원들이 부정적인 답변을 내놨기 때문이다. "현재의 모금한도도 채우지 못하고 있는데 상한을 올리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열린우리당 우상호 의원)는 것이다.

실제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후원회를 둔 의원 285명 가운데 후원금 모금 한도의 절반(초선의 경우 1억5000만원)도 못 채운 의원이 58.6%(167명)였다. 특히 초선 의원은 73.4%가 한도의 절반을 채우지 못했다. 재선 의원은 37.1%가 이 군(群)에 속했다. 초선이 후원금을 모으는 데 더 고전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본지 조사에서도 후원금 모금 한도를 유지하자는 의견은 초선 의원(71%) 비율이 재선 이상 의원(68.6%)보다 다소 높았다. 당별로는 야당이 여당보다 모금 한도 유지에 적극적이었다. 한나라당 의원 가운데는 '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 74.5%였다. 민주노동당 의원들은 90% 이상이 '한도 유지'를 희망했다. 열린우리당의 경우 64.5%가 '현행 유지'쪽을 택했으며, '한도를 올리자'는 의견은 25.8%, '폐지하자'는 견해가 8.6%였다.

재산이 많은 의원들이 모금 한도를 올리자고 더 강하게 요구하기도 했다. 재산이 10억원 이상인 의원의 35%가 모금 한도를 올리거나 아예 폐지하자고 했다. 재산이 20억원가량인 한 3선 의원은 "정치자금은 능력껏 걷어 그만큼 의정활동을 충실히 하는데 쓰는 게 원칙"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재산이 1억원 미만인 의원의 경우 14%만이 이런 목소리를 냈다.

정치자금이 부족했는지에 대한 물음에는 당별로 꽤 차이가 났다. 열린우리당에선 40.9%(38명)가 '자금이 부족해 의정활동에 제약을 받았다'고 한 데 비해 한나라당에서는 26.5%, 민노당은 11.1%만이 자금이 부족했다고 했다.

◆ 탐사기획팀 = 정선구 (차장).강민석.김성탁.정효식.민동기.임미진 기자.신창운 여론조사전문위원

◆ 제보 =

02-751-5644, 5674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