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IS 테러 위협이 한걸음 더 우리에게 다가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엊그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도심에서 벌어진 동시다발 테러는 이슬람극단주의 세력의 테러가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님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줬다. 이번 테러는 동남아시아의 자생적 무장세력이 처음으로 수니파 극단주의 세력인 이슬람국가(IS)와 연계해 벌인 것으로, 아시아 대도시에서 벌어진 IS의 첫 테러다. IS의 위협이 우리의 코앞까지 성큼 다가온 것이다.

 IS가 지난해 밝힌 공격 대상 국가 60개국 중에는 한국도 포함돼 있다. IS는 인터넷과 SNS를 통해 거의 전 지구적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에게 동조하는 각국의 자생세력들에게 테러를 ‘아웃소싱’함으로써 효용과 위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이미 한국의 청소년이 IS에 포섭된 예도 있으며, 국내 지역을 대상으로 테러를 계획하는 무리들이 생겨나지 않으리라는 보장도 없다.

 IS의 테러는 군사시설 등 특정 목표물을 겨냥하는 ‘하드타깃 테러’와는 달리 주로 도심 번화가에서 무방비 상태의 시민과 관광객들을 노리는 이른바 ‘소프트타깃 테러’여서 더욱 탐지와 예방이 어렵다. 게다가 지난해 11월 파리 테러 이후 폭탄과 총기로 무장한 테러범들이 자살폭탄 공격과 함께 경찰과 행인들을 향해 무차별 난사하는 ‘도시 게릴라전’ 양상으로까지 진화하고 있어 대처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테러에 대비하는 데 전혀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한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도 우리는 대비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테러방지법 하나 만드는 데 15년째 인권 침해와 권력남용 논쟁만 벌이고 있다. 여야가 당초 합의했던 대로 대테러 컨트롤타워를 총리실 산하에 두는 방식으로 우선 시작하는 것도 방법이다. 문제가 드러나면 고치면 된다.

 아무리 부족한 대테러 컨트롤타워라도 연간 3000만 명이 이용하는 서울역의 테러 대비를 외주용역 3명과 가스총으로 무장한 철도경찰 2명에게 맡기는 것보다는 시민의 안전을 보장할 것이다. 하루빨리 외양간을 손봐야 한다. 여야가 자기주장만 고집하다가 잃게 될 건 소가 아니라 귀중한 국민의 목숨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