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작년 위안부 피해 할머니 15차례 만나 의견 들어"

중앙일보

입력

한·일 간 위안부 협상 타결에 앞서 정부가 피해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았다는 비판과 관련, 외교부는 지난해 15차례에 걸쳐 피해자 및 지원단체 접촉을 했다고 밝혔다.

외교부 조준혁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는 무엇보다 피해자 분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마음의 상처 치유를 최우선 목표와 원칙으로 삼아왔으며, 이에 따라 그간 피해자 및 피해자 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일본과의 협의과정에서 이런 내용이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며 이처럼 밝혔다.

조 대변인은 또 “지방 소재 단체에도 협의를 담당하는 국장이 직접 방문해 협상과정을 설명하고, 피해자들의 의견을 경청했다”며 “정부는 앞으로 후속 조치 이행과정에서 피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려는 노력을 계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직접 피해자들을 만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엔 “앞으로 여러 상황을 감안해서 후속 조치를 착실히 이행할 예정”이라고만 답했다.

일본 측에서 지속적으로 소녀상 철거에 한국 정부가 합의했다는 주장을 하는 데 대해선 “누차 공식적으로 입장을 표명했듯, 주한 일본 대사관 앞의 소녀상은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정부가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이 점을 분명히 하겠다”고 했다. 이어 “일본 측에서 이와 관련해 여러 언론 보도가 나오는 것을 잘 알고 있는데, 정부로선 이번 합의의 원만한 이행을 위해선 오해를 유발할 수 있는 보도나 언행이 더이상은 있어선 안 될 것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말했다.

여성가족부가 주관하는 위안부 백서 발간과 관련해선 “이는 이번 합의와는 무관한 사항”이라고 분명히 했다. 또 “백서는 예정대로 출간될 것으로 알고 있으며, 다만 그 백서를 어떻게 발간할지, 방안 등에 대해선 여가부를 중심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합의를 양국 외교장관이 공동기자회견의 형식으로 발표한 것과 관련, 국제법적 효력이 있는 것이냐는 질문에 조 대변인은 “내외신 기자회견을 통해 양국 정부가 국제사회 앞에서 타결 내용을 발표한 것은 이를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답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