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국 교수들, 1억 넘게 받는 상장사 이사직 그만 두는 까닭은

중앙일보

입력

중국 정부의 반부패 정책이 이제는 학계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 블룸버그통신은 상당수의 대학교수들이 중국 기업의 독립이사직 자리를 그만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기사 이미지

사진출처=홍콩 대공보(大公報)

중국 상장회사, 특히 국유기업 중 상당수는 퇴직관료나 학자 등을 독립이사로 선임하고 있다.

중국 상장사의 독립이사는 9000여 명인데 이 중 3분의 1은 전현직 교수들이 차지하고 있다.

최근까지도 중국 국립대 교수진들은 자신들이 반부패 정책에서 예외라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11월부터 이러한 기조가 바뀌고 있다. 정부가 부정부패 척결의 엄격한 기준을 학계에도 적용하면서 적어도 중국 공기업 12곳 이상에서 교수들이 독립이사직을 그만뒀다. 12곳 중에는 화타이(華泰) 증권과 푸아오(富奧) 자동차 부품 등이 있다. 화타이 증권의 경우 3명의 학자가 지난달 이사직에서 물러났다. 중국 국영라디오에 따르면 최근 1달 새 274명의 학자들이 독립이사직을 그만뒀다.

이들이 받았던 보수는 상당했다. 교수들 중에는 독립이사 보수로 100만 위안(약 1억7000만원)을 받아온 경우도 있다. 100만위안은 교수들의 연봉평균(약 12만 위안)의 8배 이상이라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중국 베이징의 직장인 평균 연봉이 17만 위안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100만 위안은 상당한 액수다.

교수들의 독립이사직 사임의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강력한 반부패 기조가 있다. 중국 대부분의 대학들이 정부에 의해 관리감독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지적했다. 특히 상장사의 독립이사는 해당회사로부터 보수를 받고 인선과정에서도 이사회의 추천을 받는 위치다. 독립이사의 책임과 권한이 상당하기 때문에 자칫 부정부패에 연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정부에서 교수들을 "다시 강단에 돌아가라"고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