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합의 환영” 특별성명 … 중국 언론 “아베 사과” 신속보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미국 정부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상 간 회담에서 위안부 문제가 합의됨에 따라 이르면 28일 오전(현지시간) ‘환영 성명’을 발표한다. 미 국무부가 발표하는 안이 유력하나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백악관 대변인이 입장을 밝힐 가능성도 있다.

대만 “한·일 위안부 합의 내용
우리 피해자에게도 동등 적용을”

 정부 고위 관계자는 “미국 측 환영 성명의 문안에 대해선 미국이 연말 휴가 시즌이었던 관계로 주한 미 대사관과 외교부가 직접 조율해 왔다”며 “미국 측은 한·일의 합의문 내용을 인용하는 형태로 성명을 내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미 미국 측은 위안부 문제가 타결되면 성명을 내겠다는 입장을 한·일 양측에 통보한 상태였다”고 했다.

 미국으로선 한·일에 새로운 정권이 들어선 2013년 초부터 양국 관계가 위안부 문제로 틀어져 한·미·일 3각 협력 체제가 큰 차질을 빚어 온 만큼 이번 위안부 문제 합의를 반기는 분위기다.

 미국은 그동안 물밑에서 한·일 양국에 위안부 문제의 타결을 독려해 왔다. 미 싱크탱크 관계자들은 “아베 정권이 위안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게 된 건 내년 미 대선 전망과도 무관치 않을 것”이라며 “국무장관 시절 위안부를 ‘강요된 성노예(sex slave)’라 표현하는 등 이 문제에 강경한 힐러리 클린턴의 당선 가능성이 커지자 ‘시간을 끌 필요가 없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중국 언론은 한·일 위안부 문제 타결 소식을 신속하게 보도하며 큰 관심을 보였다.

 중국의 반관영통신사인 중신망은 이날 오후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반성하고 책임을 느낀다는 입장을 밝혔고 이는 위안부 문제가 최종 타결됐음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이 통신은 이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도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해 사과와 반성 입장을 표명했다고 덧붙였다.

 양시위(楊希雨) 중국국제문제연구소 선임 연구원은 “미국이 한국과 일본을 묶은 삼각동맹을 실현하기 위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도록 일본에 압력을 가했다”고 분석했다.

 대만 외교부는 한·일 위안부 협상의 타결에 준해 대만 위안부들에게도 동등하게 결과를 적용해 줄 것을 요구했다. 대만은 군 위안부가 당연히 받아야 할 정의와 존엄을 요구하는 협상을 계속할 방침이라며 일본이 군 위안부 문제에 진지하게 접근토록 지속적으로 주의를 환기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워싱턴=최형규·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