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정치적 고려로 검토하진 않을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기사 이미지

홍용표(사진) 통일부 장관은 17일 “임기 내 꼭 한 번 정상회담을 해야 하지 않느냐는 정치적 고려에서 정상회담을 검토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 관훈 토론회
안전 보장돼야 금강산 관광 재개
당국회담 차관급 틀은 계속 유지

 중견 언론인 모임인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석해서다. 홍 장관은 박근혜 정부 4년 차인 내년 외에는 남북 정상회담 기회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지금 상황에서 섣불리 정상회담 얘기를 할 필요는 없다. (기회는) 내년뿐이라는 식의 접근은 안 하겠다는 대통령 의지도 확고하다”고 했다. 지난 11~12일 개성공단에서 진행된 차관급 남북 당국회담과 관련, 홍 장관은 “북측이 금강산 관광 재개에 합의한다는 확약을 받기를 원했다”고 결렬 이유를 설명했다.

 홍 장관은 “금강산 관광 재개 자체를 정부가 거부한 것은 아니다”며 “이산가족분들에게는 죄송하지만 우리가 꼭 지켜야 할 원칙까지 훼손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런 뒤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측의 금강산 관광 재개 요구를 수용하는 맞교환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는 금강산 관광이 2008년 관광객 박왕자씨 피격 사망 사건으로 중단된 만큼 관광객 신변안전 보장 대책 등을 선결 조건으로 요구해왔다. 지난 당국회담에선 1월에 이산가족 문제를 적십자회담에서, 금강산 관광 재개를 별도 실무회담에서 논의하자고 제의했지만 북한이 거부했다.

 홍 장관은 “(금강산 관광 재개는) 남북관계를 장기적으로 끌어 나가는 데 중요한 시금석이 될 수 있는 문제”라며 “국민이 안심하고 관광해야 남북 관계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무조건 재개돼야 (남북) 관계가 풀리는 건 아니다”고 했다.

 홍 장관은 “다음 회담을 어떻게 할지는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 없다”며 “12월에서 1월 초는 북측도 내부적으로 ‘총화(總和)’ 등이 있기에 밖으로 잘 안 나온다”고 말했다. 총화는 북한 주민들이 정기적, 공개적으로 하는 자기 반성 및 타인 비판을 말한다. 연말 총화가 가장 규모가 크다.

 차관급 당국회담의 틀은 그대로 가져가겠다고 밝혔다.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