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시리아 난민 200명 국내 유입…'준난민 지위'로 임시 체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시리아 난민 200명 국내 유입

'시리아 난민 200명 국내 유입'

국회 정보위 보고 "시리아 난민 200명 중 135명 준난민지위 국내체류…65명 공항대기"
"국민 10명 인터넷으로 IS 공개 지지…관련법 미비로 신원확인 불가"

시리아 난민 200명이 항공편으로 국내에 들어온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정보원은 18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정보위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이철우·새정치민주연합 신경민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국내에 온 시리아 난민 200명 중 135명은 인도적 체류 허가를 받아 '준난민 지위'로 모처에서 임시 체류 중이며, 법무부는 이들이 계속 체류할 수 있는지를 심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65명은 아직 임시 체류 허가도 받지 못하고 공항에서 대기 중이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우리나라에 온 시리아 난민은 비행기를 타고 왔으니 살기가 괜찮은 분들인데, 이들 중 135명은 자기가 원하는 곳에 신고하고 가 있다가 심사가 끝나고 허가가 나면 우리나라에 거주할 수 있다"면서 "나머지 65명은 공항에서 대기 중인데, 철저히 감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정원은 또 우리 국민 10명이 인터넷을 통해 과격 이슬람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를 공개 지지한 사례를 적발했으나, 관계 법령 미비로 아직 인적 사항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병호 국정원장은 "10명이 IS를 지지한 것을 적발했지만, 관계 법령의 문제로 신원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지난 2010년 이후 국제테러 조직과 연계됐거나 테러 위험인물로 지목된 국내 체류 외국인 48명을 적발, 강제 출국 조치했다고 보고했다. 특히 이 가운데 인도네시아 노동자 1명은 출국 후 IS에 가입해 활동하다 사망했다고 국정원은 보고했다. 이 인도네시아인은 출국 전 2년간 대구 공단에서 근무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정원은 IS가 지난 8월 간행물 등을 통해 우리나라를 미국이 주도하는 '십자군 동맹'에 포함된 테러 대상국으로 분류한 것이 발견됐으며, 국내에서도 젊은 층과 이슬람 노동자 중에서 IS에 호감이 있는 사람이 발견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이 국정원장은 "국내에서도 '외로운 늑대' 형태로 테러 인프라가 구축될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야 하겠다"고 말했다.

'시리아 난민 200명 국내 유입'
온라인 중앙일보
'시리아 난민 200명 국내 유입'
 

ADVERTISEMENT
ADVERTISEMENT